직헌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종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종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아들 교윤(敎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전우(田愚)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68수, 서(書) 16편, 권2·3에 잡저 27편, 권4에 서(序) 4편, 발(跋) 1편, 명(銘) 1편, 잠(箴) 2편, 제문 6편, 행장 1편, 어록 2편, 부록의 가장(家狀)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대부분 심성(心性)과 경의(經義)에 대하여 논한 것으로, 특히 「여정재필서(與鄭在弼書)」에서는 『대학』의 경일장(經一章) 중에서도 경(經)과 전(傳)이 구분된다고 하여 명명덕(明明德)에서 물유본말(物有本末)까지 3절(節)은 공자(孔子)의 말로 경 중의 경이며, 그뒤의 4절은 증자(曾子)가 기술한 것으로 경 중의 전이라고 설명하였다.

잡저 중 「서십측증가아(書十則贈家兒)」는 사친(事親)·부부·형제·음식·완호(玩好)·애오(愛惡)·교유·의리·독서 등에 대한 10가지 규칙을 정하여 아들에게 준 글이다. 「잡록(雜錄)」은 학문하는 방법을 논한 글로, 성리설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이 있다.

「근사록차의(近思錄箚疑)」는 『근사록』의 어려운 구절을 가려서 주석을 달고, 또한 선유(先儒)들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밖에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은 『심경』의 인심과 도심을 토대로 하여 심성(心性)을 설명한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