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이두명칭은 섬의금(蟾矣衿)이었고, 『동의보감』·『산림경제』 등에서는 ‘진득ᄎᆞᆯ’이라 하였다. 이명으로는 희렴초(稀薟草)·화렴(火薟)·저고매(猪膏莓)·화험초(火薟草)·희선(稀仙) 등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이다.
들이나 밭 근처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높이는 1m 내외이다. 잎은 난상 삼각형으로 마주나며, 길이 5∼13㎝, 너비 3.5∼11㎝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이 된다. 꽃은 황색으로 8, 9월에 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도란형이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약으로 쓴다. 약효는 혈관 확장작용이 있어서 혈압하강작용을 나타내고, 사지마비, 근육골격동통, 허리·무릎의 무력감, 급성간염 등에 유효하다. 고혈압환자는 차로 복용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