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득찰

목차
관련 정보
진득찰
진득찰
식물
생물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이칭
이칭
섬의금(蟾矣衿), 진득, 희렴초(稀薟草), 화렴(火薟), 저고매(猪膏莓), 화험초(火薟草), 희선(稀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내용

조선시대의 이두명칭은 섬의금(蟾矣衿)이었고, 『동의보감』·『산림경제』 등에서는 ‘진득ᄎᆞᆯ’이라 하였다. 이명으로는 희렴초(稀薟草)·화렴(火薟)·저고매(猪膏莓)·화험초(火薟草)·희선(稀仙) 등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이다.

들이나 밭 근처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높이는 1m 내외이다. 잎은 난상 삼각형으로 마주나며, 길이 5∼13㎝, 너비 3.5∼11㎝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이 된다. 꽃은 황색으로 8, 9월에 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도란형이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약으로 쓴다. 약효는 혈관 확장작용이 있어서 혈압하강작용을 나타내고, 사지마비, 근육골격동통, 허리·무릎의 무력감, 급성간염 등에 유효하다. 고혈압환자는 차로 복용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주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