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690㎝. 1982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자연 석굴 입구의 내만된 암벽을 이용하여 거신광(擧身光)을 표현한 뒤 대형의 여래입상을 양각하였다. 전면에 뚫려 있는 가구공(架構孔)으로 보아 원래는 목조 전실(前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만형의 얼굴은 이목구비가 단정하게 표현되었으며 소발(素髮)의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큼직하다. 두 귀는 길어서 어깨에 닿았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신체는 부분적으로 마멸되어 세부표현이 불분명한데, 어깨에 걸친 통견(通肩)의 법의는 U자형으로 흘러내리며, 왼팔 등에도 옷주름선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건강한 상체에 통견으로 입혀진 법의자락은 몸 앞으로 타원형을 그리면서 양손을 감싸고 늘어져 있다. 두 손은 몸 앞에서 들어 인지와 중지를 맞댄 채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여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을 연상하게 한다.
특징적인 광배 모양과 함께 도식적인 옷주름의 표현은 전면적으로 형식화가 진행되는 고려불상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이 불상은 신라말의 마애불상양식을 계승하여 고려 시대에 성행한 거군(巨群)의 마애불상 중의 하나로 높이 평가된다.
거대한 규모에 비하여 조각기법이 뒤떨어지는 작품으로서 비만하여진 얼굴과 탄력성을 잃은 체구 등으로 보아 조성시기는 9세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