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안골포 굴강 ( )

목차
관련 정보
진해 안골포 굴강
진해 안골포 굴강
자연지리
지명
국가유산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 있는 유적.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창원 안골포굴강(昌原 安骨浦掘江)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제조업/조선소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94년 07월 04일 지정)
소재지
경남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 517-9번지 ,517-1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 있는 유적.
내용

1994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022㎡. 굴강의 석축이 허물어진 채 있으며, 본래 이 굴강은 고관들의 배나 국가적 중요성을 띤 배들이 하역작업을 하던 군사시설의 일종으로서 배의 수리나 보수 등을 맡았던 선박장의 구실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국에는 굴항유적이 5∼6개 있었으나 이 곳 외에는 흔적만 있을 뿐이며, 안골동의 굴강은 비롯 윗부분의 석축이 허물어지기는 했으나 그 형태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인위적으로 자연석을 축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입구는 동편에 있으며, 그 목의 폭은 약 20m로 남아 있는 석축은 약 47m 내외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곳에서 약 20여m 떨어진 산 언덕에는 옛 객사 등이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말에 작성된 「웅천현고지도」를 보면, 이곳에 배 3척을 그려두고 있으며, 제덕동 앞바다에는 선소라는 표기와 배1척이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이곳 굴강에 거북선을 매어두었다는 전설도 있다. 이곳 안골동의 일본인들이 쌓았으며, 성의 정화와 함께 굴강의 발굴과 복원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진해사』(진해문화원, 1983)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