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성서원 ()

목차
유적
북한 황해남도 해주시 수양산 아래에 있었던 조선후기 최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해주시 수양산 아래에 있었던 조선후기 최충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내용

1691년(숙종 17)에 해주목사 이창(李昶) 등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충(崔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1년(영조 7)에 ‘청성(淸聖)’이라 사액되었으며, 청성묘(淸聖廟)에는 은나라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위패를 모셨다.

또한, 이 서원에는 중국 송나라 때의 대유 주자(朱子)가 ‘百世淸風(백세청풍)’이라고 쓴 기념비가 서 있어 시민들의 발길이 그치지 않았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경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서원등록(書院謄錄)』
『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집필자
박연두(평안남도민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