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모란문 발우 및 접시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시대의 청자 발우와 접시.
이칭
이칭
청자상감모란절지문바릿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자 상감모란문 발우 및 접시(靑磁 象嵌牡丹文 鉢盂 및 ?匙)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90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발우와 접시.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발우의 높이 4.4∼7.3㎝, 입지름 16.1∼18.9㎝, 밑지름 5.9∼6.1㎝. 접시의 높이 2.9㎝, 입지름 14.0㎝, 밑지름 5.7㎝.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같은 형식으로 크기가 점점 작아져서 포개어 넣을 수 있는 발우 3점과 이들과 유색·문양이 같은 접시1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발우의 형태는 3점이 유사하다. 입 부분이 조금 내만(內彎)하였고 둥근 측면선이 접지면까지 이르는 평저형이다. 유약(釉藥)은 4점 모두 미세한 기포(氣泡)가 있는 투명유로서 굵은 빙렬이 있고, 부분적으로 산화되거나 용융이 불안정하다.

발우의 안쪽 바닥에 국화 한 송이가 상감되어 있고, 안쪽 측면 3부분에 꽃송이가 3개인 모란절지문이 자연스러운 형태로 세밀한 부분까지 각각 묘사되어 있다. 안쪽 입 부분에 음각선이 둘러져 있고, 바깥쪽 입 주변에는 뇌문대(雷文帶)가 백상감되었다. 바깥쪽 전면에 보상화당초(寶相花唐草)가 백상감되었고 그 아랫부분에서 굽에 이르는 면에는 연판문대가 있다.

접시는 안쪽 바닥에 두 줄의 백상감 원권(圓圈) 안에 국화문이 있으며, 측면에는 한 송이의 모란이 네 군데에 각각 표현되었다. 바깥쪽 문양은 발우와 유사하다.

발우의 바닥은 유약을 닦아내고 검은 모래가 섞인 내화토받침을 했으며, 접시도 굽의 접지면을 닦아낸 뒤 같은 받침을 하였다. 4점 모두 같은 질과 문양·형식이어서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