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음각 운문 병 ( )

목차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병.
이칭
이칭
청자음각여의운문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음각운문 병(靑磁 陰刻雲文 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병.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9.0㎝, 입지름 5.9㎝, 밑지름 9.5㎝.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이 병의 아가리 부분은 완만하게 넓어지다가 급하게 외반하여 넓게 벌어져 있다. 가늘고 긴 목 부분은 거의 직선에 가깝게 내려오다가 어깨 부분에 와서 벌어지며, 어깨 부분에서 다시 변곡(變曲)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동체의 최대동경(最大胴頸)에 연결되며 급한 곡선으로 좁아들어 굽에 이른다. 굽은 다소 높고 넓어서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아가리 아래에는 문양의 배경을 넓게 음각하여 양각의 효과를 내는 반양각기법(半陽刻技法)으로 당초문대를 새겨 넣었다. 어깨 부분에는 이중선문대(二重線文帶)를 음각하고 그 밑에 여의두문(如意頭文)을 반양각기법으로 둘렀으며, 여의두문 세부에는 가는 음각선을 새겨서 요철을 강조하였다. 동체에는 작은 운문(雲文)을 드문드문 반양각하고 대부분 공백으로 남겨놓았다. 동체 하부에서 굽에 이르는 면에는 이중연판문이 반양각 되었으며, 잎맥은 가는 음각선으로 간결하게 처리되었다.

유약(釉藥)은 미세한 기포가 있는 얇은 투명유(透明釉)로서, 윗부분은 약간 산화(酸化)되어 담황갈색을 띠지만 그 아래는 담녹청색을 띤다. 굽은 정교하게 깎았으며, 굽의 전면과 안바닥에도 일정하게 시유되었다. 굽 안바닥과 접지면의 다섯 곳에 규석받침을 받쳤던 흔적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고려청자의 음각수법과 문양에 관한 연구: 전북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요지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조정현, 『한국문화연구원 논총』24, 이화여자대학교 부설 한국문화연구원,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