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양각 연화당초 상감 모란문 은테 발 (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완.
이칭
이칭
청자 양인각연당초상감모란문 은구대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 銀테 鉢)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0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완.
내용

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7.7㎝, 입지름 18.7㎝, 밑지름 6.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자기 그릇은 장식적 효과를 위해 아가리에 금속테를 두르는 경우와 복소법(覆燒法)으로 구워져 노태(露胎)인 아가리 부분에 금속테를 두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 대접은 전자에 속한다.

대접의 측면선은 양감 있는 곡선이며 아가리는 측면선을 따라 마무리되어 있다. 굽의 외곽선은 V자형으로 좁아지며 비교적 높다. 유약은 미세한 기포가 있고 약간 반투명한 담청색을 띤 회녹색(灰綠色)이며 전면에 가는 균열이 있다.

그릇의 내면은 압출양각기법(壓出陽刻技法)으로 전면에 치밀한 양각문이 찍혀 있는데, 바닥의 내저원각(內底圓刻)에는 국판문(菊瓣文)이 있고 측면 전체에는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이 주문양으로 새겨져 있다. 아가리 밑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가 둘러져 있다. 외면에는 중앙 세 군데에 모란절지문(牡丹折枝文)이 간결한 형태로 흑백상감 되었다. 이와 같이 내면을 압출양각기법으로 시문하고 외면을 간략한 상감기법으로 처리하는 방식의 상감청자는 고려 시대 상감기법의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례이다.

굽의 안바닥은 외부 굽 언저리보다 높으며 작고 정교하게 깎여진 굽의 접지면에까지 유약이 잘 시유되어 있다. 굽의 안바닥에는 세 군데의 규석받침 흔적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