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43.0㎝, 입지름 6.3㎝, 밑지름 15.3㎝. 개인 소장. 매병과 함께 뚜껑이 갖추어진 작품으로, 유태(釉胎)의 질과 문양을 감안할 때 매병과 뚜겅은 본래 함께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매병은 고려 중기의 전형적인 형태로서, 작은 반구형(盤口形)의 아가리 부분, 적당하게 팽창된 어깨 부분, 세련된 동체(胴體)가 적절한 조화를 이룬다.
뚜껑의 상단에는 어무런 문양이 없으며 측면에 연엽문(蓮葉文)이 공간을 적절히 나누어 세 군데에 간결한 필치로 음각되어 있고, 테두리에는 뇌문대(雷文帶)가 음각되어 있다. 매병의 반구형 구연부 아래 뇌문대가 있으며, 동체의 중심부 네 곳에 연화절지문(蓮花折枝文)이 음각되어 있다. 굽 주변에는 뇌문대가 둘러져 있다. 문양의 소재가 단순하며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여 간결한 음각 문양을 시문한 것이 특징적이다.
유약(釉藥)은 담녹색을 띤 청자유로서 비교적 투명하며 가는 빙렬(氷裂)이 있다. 뚜껑은 안쪽 바닥 세 곳에 규석 조각을 받쳐 번조한 흔적이 있으며, 굽의 접지면은 비교적 넓으며 예리하고 편평한 절단면을 보인다. 안바닥은 깊고 편평하게 잘 깎아냈다. 굽은 접지면의 유약을 긁어내고 모래 섞인 내화토빚음을 여섯 군데 받쳤던 흔적이 있다. 굽의 안바닥은 시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