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종 ()

목차
가족
의례·행사
임종 전부터 임종 후 부고를 내기까지의 상례의식. 상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임종 전부터 임종 후 부고를 내기까지의 상례의식. 상례.
내용

사람이 병이 위독하여 숨을 거두기 직전부터 죽은 뒤 부고를 내기까지의 절차이다. 초종은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는데, 첫째는 상례의 첫 절차가 엄밀한 의미의 초종이요, 둘째는 초종장례(初終葬禮)의 준말이다.

초종은 본래 전자를 뜻하였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운명할 때부터 졸곡(卒哭)까지의 상례절차를 뜻하게 되었다. 본래 의미의 초종의 종(終)은 단궁(檀弓:예기의 편명)에서 “군자는 마침이 있다(君子有終).”는 데서 따온 말로 초종은 곧 처음 죽었을 때를 뜻한다.

그러나 후대에 쓰이는 초종은 처음〔初〕과 끝〔終〕을 뜻하는 것으로 일정한 상례절차의 시종을 뜻한다. 본래적 의미의 초종절차에는 임종에 대한 준비, 초혼·시체거두기, 상례 동안의 소임분담, 관준비·부고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 절차는 주위환경을 평온하게 하여 조용히 숨을 거두기를 기다리기 위하여 병이 들면 정침(正寢)으로 거처를 옮긴다.

예설(禮說)에 남자는 여자의 손에 의하여 숨을 거두지 않고, 부인은 남자의 손에 의하여 숨을 거두지 않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숨이 완전히 끊어지면 곡(哭)을 한다. 곡을 한 뒤 초혼 또는 복(復)을 한다. 초혼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들이는 행위이다.

죽은 사람이 입었던 웃옷을 가지고 지붕에 올라가 왼손으로 옷의 목 부분을 잡고 오른손으로 옷의 허리 부분을 잡고서 북쪽을 향하여 죽은 사람의 이름을 세 번 부른다. 이때 모두는 울음을 그치고 조용히 하여야 한다.

복을 마치고 내려와 그 옷을 시체 위에 덮고 다시 울음을 시작한다. 복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들임으로써 죽은 사람을 살려 보려는 마지막 노력으로, 그래도 되살아나지 못하면 그때부터 죽은 것으로 취급한다.

죽음이 완전히 확인되면 일을 집행하는 사람, 즉 집사자(執事者)가 위장〔幃〕과 상(牀)을 설치하고 시체를 옮긴다. 일을 집행하는 사람이 휘장으로 시체를 가리고, 상을 만들어 시체 앞에 두었다가 침석(枕席)이 준비되면 시체를 그 위에 옮기고 머리를 남쪽으로 두게 한다. 다음에는 상주와 주부(主婦)를 세우는데, 맏아들이 있으면 맏아들이 상주가 되고, 맏아들이 없으면 맏손자가 상주가 된다.

주부는 죽은 사람의 처가 되는데, 처가 없을 경우에는 상주의 처가 된다. 상주와 주부를 세움과 동시에 호상(護喪)과 사서(司書)·사화(司貨)를 정한다. 호상은 집안 가운데서 예를 알고 일을 치를 수 있는 사람으로 정하며, 모든 상례에 관한 일은 호상에게 물어서 한다. 사서·사화는 집안사람이나 심부름하는 사람이 맡는다.

이들은 초상에 필요한 물품·부의(賻儀)·조객의 성명 등을 기록하고, 상례에 소요되는 경비 등을 보살핀다. 일단 초상이 나면 아내·아들·며느리는 모두 관(冠)과 웃옷〔深衣〕을 벗고 머리를 풀어뜨린다.

그리고 3년상에는 사흘을 먹지 않고, 1년 또는 9개월상에는 세 끼니를 먹지 않으며, 5개월과 3개월상에는 두 끼니를 먹지 않는다.

상례 동안의 소임분담이 이루어지면, 관(棺)을 장만한다. 호상이 대목에게 명하여 관을 만들게 한다. 삼나무〔杉〕에 기름칠을 한 것이 가장 좋고, 잣나무〔柏〕로 한 것이 그 다음이다.

그리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부고를 낸다. 호상과 사서가 상가를 위하여 부고를 써서 보낸다. 이상이 예서에 보이는 엄밀한 의미의 초종절차이며, 실제의 관행은 예서와 약간 차이가 있다.

보통 임종은 본인이 사용하던 방에서 맞도록 하며, 이어서 속광을 한다. 숨이 끊어지면 곧 수시(收屍)를 하는데, 즉 눈을 감기고 손은 배 위에 모아 엄지를 함께 묶고, 다른 한쪽 끝으로 엄지발가락을 함께 묶는 절차를 말한다. 이것은 염(殮)을 쉽게 하기 위하여서이다.

한편으로는 사잣밥을 앞마당에 차리며, 그 앞에서 죽은 사람의 옷을 흔들며 주소와 함께 이름을 부르고 ‘복복복’하며 초혼을 한다. 이 옷은 시신 위에 덮었다가 뒤에 영좌에 둔다.

사잣밥은 대문 밖에 차려 놓는데 지방에 따라 다르며, 밥·동전·짚신 등을 상이나 키에 세 개씩 놓는다. 그리고 마을이나 친척 가운데 경험이 많은 사람을 호상으로 삼아 장례를 치를 준비를 하는 한편, 부고를 보낸다. 남자 상제들은 머리를 풀고 흰 옷으로 갈아입는다.

시신은 시상판(屍床板) 위에 옮겨 움직이지 않도록 시상판과 함께 묶고, 창호지로 시상판과 함께 둘러 덮는다. 그 앞에 병풍을 치고 향상을 차린다. 향상 위에는 촛불과 함께 포(脯)를 올리고, 상주가 분향(焚香)하고 헌작(獻爵)하여 놓는다. 모든 상제들은 그 옆에 지키고 앉아서 조객을 받는다.

그리고 향과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조객들은 상제들이 상복하기 전까지는 향상 앞에서 분향과 헌작을 한 다음 곡만 한다. 밤이 되면 친지와 이웃사람들이 모여 안마당에 차일을 치고, 장작불을 놓아 밤샘을 한다. 여자들은 방에서 수의와 상복을 만든다.

이와 같은 예서와 관행에서의 초종의 절차는 현대로 접어들면서 복과 같은 비과학적 의식이라든가, 상주가 여러 날 음식을 먹지 않는 고행적인 의식, 그리고 오복(五服)의 복제 등 번쇠한 예제와 의식이 모두 없어졌고, 초종례 전반에 걸쳐 크게 간소화되었다.

참고문헌

『가례(家禮)』
『상례비요(喪禮備要)』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변통고(常變通攷)』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 상제』(장철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