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희량 임란 관련 고문서 ( )

목차
관련 정보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중 첩보서목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중 첩보서목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시대 무신 최희량이 정유재란 때 왜적을 격파한 승전보고서목을 모아 엮은 서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최희량 임란 관련 고문서(崔希亮 壬亂 關聯 古文書)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관부문서/첩관통보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9년 07월 26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고분로 747 (반남면, 국립나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신 최희량이 정유재란 때 왜적을 격파한 승전보고서목을 모아 엮은 서첩.
내용

197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속자료로 교지(敎旨)·시호망(諡號望) 등 고문서가 첨가되어 있다. 종류별로 구성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최희량임란첩보 : 첩장(帖裝)으로 19절(折)이며, 표지에는 ‘崔逸翁破倭報捷元本(최일옹파왜보첩원본)’이라 묵서(墨書)로 쓰여져 있다. 1598년(선조 31) 3월부터 7월 사이에 최희량이 흥양현감으로 재임시 전라좌도수군절도사, 통제사 등에게 첨산(尖山)·고도(姑島) 등의 승첩을 7차에 걸쳐 올렸는데, 이에 대한 수사나 통제사의 제사(題辭)가 있다.

이 서첩 후미에 이은(李溵)·조명정(趙明鼎) 등 8인의 발문이 붙어 있다. ② 교지 : 낱장으로 총 9장이다. 5장은 선조 때 최희량이 받은 사령교지이고, 1장은 최희량이 죽은 뒤 내린 병조판서 증직교지이며, 1장은 고종 때 내린 사시교지(賜諡敎旨)이며, 2장은 그의 아내에게 내린 증직교지이다.

시호망은 3장으로, 1871년(고종 8) 시호 내릴 것을 청할 때의 문서이다.

의의와 평가

이 서첩과 문서들은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며, 고문서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가흥리의 최경수가 소유하고 있다.

집필자
이정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