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1992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나 1998년 12월 29일 유형문화재에서 지정 해제되었다. 황신(黃愼, 1562∼1617)은 본관이 창원(昌原)이고, 호는 추포(秋浦)이며, 선조 · 광해군 때의 문신으로 정랑 황대수(黃大受)의 아들이다.
성혼(成渾) · 이이(李珥) 문인으로 1588년 문과에 급제, 감찰, 호조 · 병조의 좌랑, 정언을 거쳐 1596년 절충장군으로 일본에 왕래하였다. 왜란 때 공이 많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고 뒤에 호조판서를 지냈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어 옹진에 유배되었다가 죽었으며, 부여 창강서원(滄江書院)과 옹진서원(甕津書院)에 제향되었다.
① 황원의 분재기 1건은 1563(명종 18) 10월에 작성된 것이며 황신의 조부인 황원이 6남매에게 재산을 분배한 동생화회문기이며, 가로 130㎝, 세로 46㎝이다. ② 호패와 옥관자(玉貫子)는 1588년 4월에 만들어진 것이다. 황신이 문과 급제한 뒤에 받은 상아제의 호패와 옥관자 1쌍으로, 호패의 길이는 8㎝이고, 너비 2.5㎝이며, 옥관자 길이는 3㎝이고, 폭 3㎝이며, 두께는 0.5㎝이다.
③ 교서는 1597년 8월에 작성된 것으로 황신이 전라도관찰사 겸 수군절도사에 임명된 사실을 기록하였다. 가로 225㎝, 세로 85㎝이다. ④ 위성공신교서는 1613년(광해군 5) 3월 임진왜란시 광해군을 시종한 공으로 위성공신 2등에 봉해진 녹권으로, 가로 230㎝, 세로 32㎝이다.
⑤ 회원부원군지는 1617년(광해군 9)에 회원부원군 및 영의정에 증직된 교지로, 가로 81㎝, 세로 80㎝이다. ⑥ 유서는 1613년 1월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옹진으로 귀양가 있던 중 아들과 손자에게 써 준 것으로 모두 10장이다. 가로가 28㎝이고, 세로가 44㎝이다.
⑦ 녹패는 1613년 1월에 제3과 녹을 지급한 패로, 가로가 100㎝이고, 세로가 7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