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중도 적석총 ( )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에 있는 삼국시대에 조성된 돌무지무덤.
이칭
약칭
중도적석총
속칭
말무덤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집단무덤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백제
높이
5m
지름
14m
소재지
강원도 춘천시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강원도
종목
강원도 시도기념물(1976년 6월 17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춘천시 중도동 59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춘천중도적석총(春川中島積石塚)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에 있는 삼국시대에 조성된 돌무지무덤이다. 수량은 2기이고, 면적은 360㎡이다. 중도 남동쪽 부분에 쌍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어느 장군의 말을 묻었다고 하여 ‘말무덤’이라고도 불렸는데, 1981년 중도선사유적 발굴조사단에서 조사하여 무덤의 내부 구조와 축조 방법이 일부 밝혀졌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에 있는 삼국시대에 조성된 돌무지무덤.
발굴 경위 및 결과

춘천중도적석총은 1981년 의암호의 수위 변동으로 발생하는 호수변의 무너짐 현상으로 파괴되는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그 상황을 파악하게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 유리건판을 보면 이 유적은 일제강점기 고적 조사 일환으로 조사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지만, 자세한 시기와 내용은 알 수 없다.

중도 남동쪽 부분에 쌍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래 어느 장군의 말을 묻었다고 하여 ‘말무덤’이라고도 불렸다. 1981년 중도선사유적 발굴조사단에서 조사하여 무덤의 내부 구조와 축조 방법이 일부 밝혀졌다.

형태와 특징

무덤은 강돌로 무덤 칸을 여러 개 만들어 시신을 안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널과 덧널은 확인되지 않았다. 모래언덕에 강돌을 쌓아 봉분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무덤 크기는 지름 14m, 둘레 44m, 높이 5m이다. 무덤 칸이 여러 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나, 보고 내용은 자세하지 않다. 최근 정선아우라지유적, 광주곤지암리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모습의 돌무지무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과거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사된 돌무지무덤의 매장 방식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출토 유물은 무덤의 주변에서 토기 조각이 다량 수습되었고, 무덤 내부에서는 청동귀걸이, 작은 쇠손칼, 쇠화살촉, 쇠못, 용도 미상 철기와 함께 수백여 점의 토기 조각 등이 동반되었다. 토기는 두드림무늬를 시문한 적갈색과 회청색 토기, 깊은 바리토기, 한성기 백제의 곧은입항아리류가 동반되었다.

의의 및 평가

춘천중도적석총은 지금의 중국 동북 삼성 일부와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돌무지무덤과 비슷한 겉모습을 보여 주지만, 무덤 칸의 축조 방식은 고구려와 차이가 있고 동반 유물도 고구려계 유물이 확인되지 않는 특징을 보여 준다.

한성기 백제의 곧은입항아리는 중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과 한성기 백제와의 연결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성 시기는 삼국시대인 3세기 말~4세기 전반경으로 이 시기 마을의 유력자 무덤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논문

심재연, 「한강 중 · 상류역의 적석총과 석촌동 적석총과의 관계」(『백제 초기 고분의 기원과 계통』, 한성백제박물관, 2017)

기타 자료

「광주 곤지암역세권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종합 약식보고서」(기남문화재연구원, 2021)
「정선 아우라지 유적Ⅱ-정선 여량면 여량리 191번지(정선 아우라지 유적 내) 유적 발굴 (정밀)조사 보고서」(강원문화재연구소, 2019)
박한설, 최복규, 「중도적석총발굴보고」(『중도발굴조사보고서』, 중도선서유적발굴조사단, 1982)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