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인가 ()

목차
국악
작품
서울의 긴 잡가인 12잡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의 긴 잡가인 12잡가.
내용

사설에 일관된 내용은 없고, 처음 부분에는 이도령과 춘향의 오리정 이별대목이 나오고, 그 뒤에는 이것저것을 둘러대고 있다.

풋고추 절이김치 문어 전복 곁들여

황소주 꿀타 향단이 들려

오리정으로 나간다 오리정으로 나간다.

어느 년 어느 때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

그리던 사랑을 품안에 품고

사랑사랑 내사랑아 에― 어화둥개 내건곤.

이제가면 언제오뇨 오만 한을 일러주오.

명년춘색 돌아를 오면 꽃피거든 만나볼까

놀고가세 놀고가세 너고나고 나고너고만 놀러가세.

장단은 6박의 도드리장단이지만 “놀고가세 놀고가세 너고나고 나고너고만 놀러가세.”는 4박으로 친다. 모두 13마루로 되어 있는데, 처음 “풋고추 절이김치…….”로 시작하여 “놀고가세…….”까지 6마루, “곤히 든잠…….”에서 “놀고가세…….”까지 5마루, “오날 놀구 내일 노니…….”에서 끝까지가 2마루로 되어 있다.

음계는 처음 3마루 정도까지는 솔·라·도·레·미(GAcde)의 경조(京調)인데, 그뒤부터는 e가 f로 올라가서 레·미·솔·라·도(GAcdf)의 서도식 음계로 바뀌어서, 경서도창의 진수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잡가악보집』(한국국악학회, 1983)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75)
『십이잡가』(한만영, 한국국악학회, 1967)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