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발트 (cobalt)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주기율표 제9족에 속하며 광택이 나는 은회색의 금속원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주기율표 제9족에 속하며 광택이 나는 은회색의 금속원소.
내용

원자번호 27, 원자량 58.9332g/mol로서 원소기호 Co로 표시된다. 녹는점은 1,492℃, 비중은 8.9g/㎤이다. 철과 비슷한 광택이 나며, 강자성(强磁性)이 있다. 녹는 온도가 높고 공기 중에서 표면에 녹이 슬 뿐 잘 부식하지 않는다.

명칭은 코발트광석의 제련이 어려워 이 광석에 코발트라는 악귀가 붙어 있다고 광부들이 믿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또 코발트가 늘 니켈에 수반되어 산출되므로 기숙자(寄宿者)를 뜻하는 그리스어‘Kobals’에서 연유하였다는 이설도 있다.

옛날에는 금속이라기보다는 도자기나 유리 등에 청색을 띠게 하는 화합물로 알려졌다. 중국 당나라 때 오수(吳須) 또는 오수토(吳須土: 코발트 · 망간 · 철 등이 함유된 흑갈색 점토)를 도자기의 청색채료로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근대에는 특수강 · 초합금(超合金) · 자석합금(磁石合金) 등에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수강으로서는 고속도강(高速度鋼)과 공구강에 특히 많이 사용되고, 그 밖에 내식(耐蝕) · 내열(耐熱) · 탄소강(炭素綱)에 사용되고 있다. 초합금으로서는 항공기 · 선박용 엔진, 발전설비에 사용된다.

자석합금으로는 스피커 · 모터 · 계측기기 및 전기 · 전자 관련산업에 많이 사용된다. 그 밖에 도금(鍍金)에도 사용되며, 화학공업 관련분야에는 촉매용으로 사용된다. 화합물로서 유리 · 도자기의 안료(顔料), 고무첨가제로도 사용된다.

천연에서 산출되는 코발트광물 중 광석 광물로서 중요한 것은 휘코발트석(CoAsS)과 스말타이트(CoAs₂)이다. 코발트광은 비소(砒素)나 니켈을 포함하는 광석과 함께 산출되며 동광석(銅鑛石)에 수반되기도 한다.

코발트광석의 주요 생산국은 자이레 · 잠비아 · 러시아 · 캐나다 등이다. 코발트광상으로는 마그마광상 · 열수광상(熱水鑛床) · 풍화잔류광상(風化殘留鑛床) 등이 중요하다. 마그마광상과 풍화잔류광상은 염기성화성암(鹽基性火成岩)과 성인적으로 관계가 깊은 것으로서 동 · 니켈 광물과 함께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 산지로는 여러 곳이 알려져 있으나, 코발트광상으로 개발하여 광석을 생산한 곳은 굴륵산(掘勒山)광산과 보국(報國)코발트광산, 함안(咸安) · 군북(郡北) 광산으로 이들은 모두 맥상열수광상(脈狀熱水鑛床)이다. 스카른광상에서도 코발트광물의 산출이 알려져 있다.

코발트광석 광물은 함코발트유비철석〔硫砒鐵石〕, 글로코도트〔Glaucodot, (Co, Fe)AsS〕, 사플로라이트〔Safflorite(CoAs₂₋FeAs₂)〕, 휘코발트석 등이다. 사플로라이트는(CoAs₂₋FeAs₂)의 고용체(固溶體)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코발트광상은 1928년의 굴륵산광산이고, 보국코발트광산은 1913년에 발견되어 1940년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자원총람』(동력자원연구소, 1985)
『朝鮮鑛床論』(土田定次郎, 霞ケ關書房, 1944)
「本邦コハルト鑛床調査報文」(中村慶三郎, 『朝鮮鑛業會誌』 25-6, 196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