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상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인류생활에 유용한 원소나 광물이 지각내에 농집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광업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광상은 인류 생활에 유용한 원소나 광물이 지각 내에 많이 모여 있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유용물질을 채광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형성 원인에 따라 화성작용과 관계가 깊은 화성광상, 퇴적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퇴적광상, 변성작용으로 생성된 변성광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채광 대상이 되는 원소나 광물의 종류에 따라 금광상·형석광상 등으로 불린다. 고대에는 유용원소나 광물의 종류가 보석류나 귀금속·동·철 등에 불과했다. 오늘날은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원소와 광물이 이용되고 있다.

목차
정의
인류생활에 유용한 원소나 광물이 지각내에 농집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광업용어.
내용

일반적으로는 유용물질이 채광하여 경제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만큼 농집된 부분을 광상이라고 부른다.

채광하여 이익을 얻는 데는 유용물질의 농집정도(품위)와 규모뿐만 아니라 채광기술 및 채광된 광석의 처리기술과 시장 · 수요 · 가격 · 정부시책 등이 관계된다.

동광상(銅鑛床)의 경우 19세기에는 2% 이상의 품위를 가져야 광상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규모만 크면 0.5% 정도의 품위를 가져도 동광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유용원소나 광물의 종류도 고대에는 보석류나 귀금속 · · 등에 불과하였으나, 오늘날은 지금까지 알려진 거의 모든 원소나 광물이 이용되고 있다.

[구 분]

광상은 그것이 형성된 원인에 따라 화성작용과 관계가 깊은 화성광상, 퇴적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퇴적광상, 변성작용으로 생성된 변성광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채광 대상이 되는 원소나 광물의 종류에 따라 금광상 · 형석광상(螢石鑛床) 등으로 불린다.

화성광상은 광상의 생성이 마그마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계되는 것으로서 마그마광상 · 페그마타이트광상 · 스카른광상 · 열수광상 등으로 나누어진다. 마그마광상은 마그마 분화과정의 산물로서 화성암 그 자체가 광상인 경우도 있다. 중요한 마그마광상으로는 크롬 · 백금 · 니켈 · 티탄 · 바나듐 · 란탄 · 등의 광상이 있다.

페그마타이트광상은 마그마의 고결(固結) 말기에 휘발성 성분이 풍부하여진 마그마에서 생긴 것이다. 중요한 것으로는 탄탈 · 니오브 · 베릴륨 · 리튬 · 주석 · 중석 · 규석 · 장석 · 운모와 보석 등의 광상이 있다.

스카른광상은 석회질암을 뚫고 들어간 화강암류의 관입접촉부 및 그 가까이에서 기존암석의 성분을 교대하여 생성된 광상이다.

철 · 동 · 중석 · 몰리브덴 · · 아연 등의 광상이 중요하다. 열수광상은 열수용액이 기존암석을 교대하거나 틈을 채워 침전하여 생성된 광상이다.

· · 동 · 연(鉛) · 아연 · 중석 · 몰리브덴 · 망간 · 비스무트 · 안티모니 · 코발트 · 수은 · 형석 · 중정석 등의 광상 가운데에는 이에 속하는 것이 많다. 열수광상을 형성하는 열수용액의 물이나 이에 녹아 있는 물질 중에는 마그마에서 기원된 것 이외의 물질도 포함되어 있다.

퇴적광상에는 해저나 호수에서 화학적 침전으로 생긴 퇴적광상과 쇄설물(碎屑物)의 기계적 퇴적으로 생긴 사광상(砂鑛床) 등이 있다. 화학적 침전의 결과로 생겨난 광상으로는 망간 · 코발트 · 동 · 철 · 칼륨 등의 광상이 있고, 사광상으로 중요한 것은 금 · 티탄 · 주석 · 토륨 · 세륨 · 란탄 · 질코늄 · 우라늄 등의 광상이 있다.

이 밖에도 지표에서 풍화작용으로 생긴 풍화잔류광상으로는 알루미늄 · 망간 · 고령토 · 니켈 등의 광상이 중요하다. 변성광상은 일반적으로 기존광상이나 암석이 광역변성작용(廣域變成作用)을 거치면서 유용광물이 새로이 생성, 농집된 것을 말한다. 중요한 광상으로는 흑연 · 홍주석(紅柱石) · 규선석(珪線石) · 남정석(藍晶石) · 규회석(珪灰石) · 활석 · 철 등의 광상이 있다.

[한국의 광상분표]

우리나라 광상을 광종별 · 성인형별(成因型別)로 대표적 광산이나 산지를 총괄해보면 다음의 〈표〉 와 같다.

광종\광상 대표적 광산과 소재지
금 · 은(Au · Ag) ③遂安鑛山 황해도 수안군 수구면
④雲山鑛山 평안북도 운산군 북진읍
④九峰鑛山 충청남도 청양군 사양면
④無極鑛山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동(Cu) ③巨道鑛山 강원도 태백시
④郡北鑛山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연 · 아연(Pb · Zn) ③蓮花鑛山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③檢德鑛山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철(Fe) ⑧茂山鑛山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면
⑥襄陽鑛山 강원도 양양군 서면
③巨道鑛山 강원도 태백시
망간(Mn) ④※將軍鑛山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⑤※金化鑛山 강원도 김화군 원남면
텅스텐(W) ③上東鑛山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④大華鑛山 충청북도 중원군 앙성면
②玉房鑛山 강원도 울진군 서면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몰리브덴(Mo) ②長水鑛山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③錦城鑛山 충청북도 제원군 금성면
④大華鑛山 충청북도 중원군 앙성면
주석(Sn) ②王避里鑛山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②順鏡鑛山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니켈(Ni) ①石溪鑛山 평안북도 의주군 수진면
④雲松里鑛山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코발트(Co) ④報國코발트鑛山 경상북도 경산군 압량읍
비스무트(Bi) ③上東鑛山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④樂洞鑛山 강원도 정선군 남면
안티모니(Sb) ④王帝鑛山 강원도 정선군 동면
토륨 · 세륨 · 란탄
(TH · Ce · La)
⑥한강 · 금강 · 영산강 · 섬진강 · 지류유역 사광상
⑥서해안 중부의 海濱砂鑛床
지르코늄(Zr) ⑥한강 · 금강 · 영산강 · 섬진강 지류유역 사광상
⑥서해안 중부의 海濱砂鑛床
리튬(Li) ②蔚珍鑛山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니오브 · 탄탈(Nb · Ta) ②茂朱鑛山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베릴륨(Be) ②丹綠鑛山 강원도 철원군 갈말면
우라늄(U) 충청북도 보은군 청천면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형석 ④春川新浦鑛山 강원도 춘성군 사북면
④九尾鑛山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석면 ①廣川石綿鑛山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활석 ④東洋滑石鑛山 충청북도 중원군 살미면
흑연 ⑧문경지역, 시흥지역, 공주지역, 청평 · 가평지역
고령토 ⑦하동 · 산청지역
납석 ④경상남도 동남부지역(밀양 · 양산 · 김해 · 창원 · 통영 일원)
④전라남도 서남부지역(해남 · 무안 · 진도 일원)
규석 ② · ④ · ⑦ · ⑧ 거의 전국에 분포함
장석 ④安養長石鑛山 경기도 안양시
운모 ③砲子鑛山 함경북도 길주군 장백면
석회석 · 돌로마이트 ⑤경상남도 · 제주도를 제외한 각 도에서 산출
마그네사이트 ⑤함경북도 길주군, 함경남도 단천군 일원
수정 ②경상북도 월성군 산내면
②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
중정석 ④昌道鑛山 강원도 김화군 기오면
④東寶鑛山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
규회석 ③충청북도 단양군 · 제원군, 경상북도 영덕군 · 성주군, 충청남도 공주군
홍주석 · 남정석 · 규선석 ⑧浮石紅柱石鑛山 충청남도 서산군 부석면
⑧論山珪線石鑛山 충청남도 논산군 상월면
불석 · 산성백토 ⑤경상북도 영일 · 감포지역
〈표〉 한국광상의 광종별 · 성인형별 대표적 광산
*주 : ① 마그마광상, ② 페그마타이트광상, ③ 스카른광상, ④ 열수광상, ⑤ 퇴적광상, ⑥ 사광상, ⑦ 풍화잔류광상, ⑧ 변성광상.
※광상성인에 대하여 학자간에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거나, 앞으로 더 성인연구를 더하여 보아야 하는 광상.

〈표〉 중의 화학적 퇴적광상에는 사광상을 제외한 모든 퇴적광상을 이에 포함시켰다. 표시된 광산은 성인형별로 대표적인 것이지, 규모면에서 가장 큰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참고문헌

『朝鮮鑛床論』(土田定次郞, 霞ケ關書房, 1944)
『한국광업지』(윤성순, 대한중석광업회사, 1952)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김옥준교수정년퇴임기념지편집위원회,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