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집은 모두 초가집으로 지어졌는데 튼□자형의 살림채와 바깥마당, 그 앞의 헛간채, 뒤꼍, 기타 광채들로 이루어져 있다.
집터는 서남향으로 열렸고 앞으로 작은 내가 흐른다. 대문은 바깥채에 있는데, 바깥채가 울의 외곽에 있기 때문이다. 칸 반 2칸통(間通)의 사랑방에 이어 대문간이 열려 있다. 사랑방은 앞퇴가 골목에 향하고 있는 경기도 서해안의 전형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대문간 다음에는 헛간이 있고 거기에서 ㄴ자로 꺾이는 평면이 된다.
대문을 들어서면 반듯한 안마당이 있고 안채가 ㄱ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ㄱ자의 동편 끝칸이 부엌이고 이어 두 칸 넓이의 안방이 있다. 서남향한 대청은 우물마루이고 네 칸 넓이이다. 다음이 건넌방 두 칸이다.
외벌대 위에 낮게 지어서 집은 아주 평저(平底)하게 보인다. 평야지대에서 볼 수 있는 특성을 잘 지녔는데, 고온다습한 남부의 집에 비하면 같은 평야의 집이라도 북방적인 성격을 띤다. 바깥채와 안채는 안마당을 두고 □형으로 배설(排設)되어 있다. 이 유형은 경기도 서해안 지역에서는 주종을 이루는 것이며 마을의 대부분의 집도 여기에 속한다.
집은 바깥채와 안채가 옛날대로 이엉을 이은 초가지붕이다. 홑처마에 앙토하여 천장을 구성한 위에 해마다 이엉을 올려서 지금은 아주 두툼하게 구조된 형상이다. 새로 이은 지붕은 기스락까지 다듬어서 말끔하게 보인다.
수원 부근의 이들 유형의 지붕에는 용마름에 대나무를 넣어 빳빳하게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해안 지역의 집은 대부분이 그렇게 하였는데 지금은 보기 어렵게 되었다. 이 구조법은 서해안에서 남해안으로 이어지며 분포하다가 보성강을 지나면서 없어진다. 이러한 분포는 어떤 문화의식에서 기인된 구조에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집 용마름에는 대나무의 설치가 없다. 현대적 유행에 따른 것인지 아니면 분포권역에서 벗어난 지역의 특성인지는 아직 구명되지 않았지만 그 점을 탐색하는 일에 중요한 자료가 됨은 물론이다.
뒤뜰에는 부엌 가까이 우물이 있고, 뒷동산 쪽으로는 화계 비슷한 시설에 감나무 · 단풍나무 등을 심어 운치를 살렸다.
근처의 유사한 여러 집들 중에서 유독 이 집이 지정된 까닭은 비교적 옛 모습을 지니고 있다는 점과 안채 상량대의 묵서명(墨書銘)으로 건축 연대를 알 수 있어 학문적인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