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량 ()

목차
관련 정보
상량고사
상량고사
주생활
개념
목조 건축물의 가구(架構)에서 최상부의 부재(部材)인 종도리를 올려 놓는 건축절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목조 건축물의 가구(架構)에서 최상부의 부재(部材)인 종도리를 올려 놓는 건축절차.
내용

종도리는 마룻도리·마룻대라고도 하는데, 서까래를 걸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올리는 것이어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즉, 집의 골격이 완성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가장 어려운 일을 마쳤다는 뜻에서 의식을 갖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상량식이 그것이며 목수들이 가장 대접받는 날이기도 하다.

상량식을 할 때 마지막으로 올리는 도리는 마룻도리 중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위치, 즉 어간도리를 이른다. 상량일자 등을 묵서(墨書)할 때는 종도리장여에 직접 쓰고, 상량문을 종이 등에 별도로 쓸 경우 기름을 먹여서 오동나무로 만든 함에 넣고 밀봉한 다음, 종도리 밑면 종도리장여와 맞물리는 부분에 홈을 파고, 그 속에 안치한다.

가신(家神)으로 모시는 성주를 일명 상량신(上樑神)이라 하며, 새로 집을 짓게 되면 성주굿을 하고 대청이나 안방 등의 상부에 모신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주거민속지(住居民俗誌)』(김광언, 민음사, 1988)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