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공 ()

목차
관련 정보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박공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박공
주생활
개념
맞배지붕의 측면에 人자형으로 붙인 건축 부재(部材). 박공 · 박풍.
이칭
이칭
박공(朴工), 박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맞배지붕의 측면에 人자형으로 붙인 건축 부재(部材). 박공 · 박풍.
내용

박공(朴工)·박풍(牔風)이라고도 하는데, 주로 박공널을 지칭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박공널은 지붕의 곡선, 즉 내림마루의 휨에 맞추어 중간이 휜 재목을 쓴다.

그래서 적당히 휜 나무를 골라 두장을 만들어 양쪽으로 갈라서 설치하는 것이 상례로, 종도리 부분에서 두장이 맞물리도록 한다. 맞물린 부분에는 지네철을 박아서 장식한다. 박공널의 두께는 길이 열두자 정도일 때 45㎜ 내외가 되며 길이가 아주 길어지면 60㎜ 이상을 쓰기도 한다.

박공널은 전체를 한장으로 하는 것이 든든하나 아주 긴 경우 이어대기를 한다. 박공널 면에는 고정못을 박은 부분에 나타나는 정두(釘頭) 등을 감추어 주기 위하여 방환(芳環 : 못대가리를 감추는 쇠)을 박는다. 못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기 때문에 방환도 일정한 간격이 되며 네모꼴이 대부분이다.

박공널의 상단, 즉 지붕의 너새가 꾸며지는 부분과 맞닿는 쪽에는 모끼연[목기연, 木只椽]이 설치된다. 박널의 끝, 즉 처마의 끝과 만나는 부분에서 평고대와 연결이 되고, 그 아래는 게눈을 새김질하는 정도로 모양을 낸다. 박공널 아래쪽으로는 방풍판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비가 들이치는 것을 막아준다.

또, 박공은 건축물의 측면 중 지붕과 연관되는 삼각형의 부분을 통칭하기도 한다. 보통, 맞배지붕의 측면을 박공이라 부르고, 팔작지붕의 합각(合閣)에도 박공이 구성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