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금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에 있는 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6°09′, 북위 34°47′에 위치하며, 안좌도(安佐島)의 북쪽으로 0.5㎞, 목포시에서 서쪽으로 19㎞ 지점에 있다. 면적은 17.36㎢이고, 해안선 길이는 30㎞이다. 팔금면의 소재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읍리․대심리․진고리․원산리․당고리 등이 있다. 북쪽의 암태도와는 중앙대교를 통해 연결되고, 남서쪽의 안좌도와는 신안1교를 통해 연결된다.

명칭 유래

섬의 명칭에 관해서는 3가지 설이 있다. 먼저 8마리 날짐승(새)의 형상을 지닌 섬이라 하여 팔금도라 하였다는 것이다. 또는 날짐승의 이름이 들어간 8명당이 있다는 설이다. 마지막으로 옛날 사람들이 살았던 8개 섬에 날짐승 지명이 많아 ‘팔(八)’과 ‘금(禽)’을 합쳐 ‘팔금’이라고 하였다는 것인데, 이 설이 가장 유력하다.

자연환경

중앙에 금당산(金堂山, 130m)이 솟아 있고 서쪽에 채일봉(160m)이 있다. 해안은 사빈해안이 대부분이고 북쪽과 남쪽 해안에 염전이 많다. 원래 주변에 흩어져 있던 작은 섬들 사이에 있던 간석지가 간척되어 하나의 섬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곳곳에 저수지가 많다. 1월 평균기온 2.0℃, 8월 평균기온 25.6℃, 연강수량 1,321㎜이다.

형성 및 변천

삼국시대에는 압해 · 기좌 · 도초 등과 함께 백제의 아차산현에 속하였다.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에 와서 기좌 · 도초와 함께 압해군에 편입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나주목에 속하였다가 영광군에 배속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나주목에 재편입되었다. 1896년기좌면이라 하여 지도군에, 1914년에는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1917년에 안창면과 더불어 안좌면에, 1969년에는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함에 따라 신안군에 속하였다. 1971년에는 팔금도 출장소의 설치로 7개리를 관할하였고, 1983년에 면으로 승격하였다.

현황

2009년 말 기준으로 인구는 1,251명(남 613명, 여 63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51세대이다. 취락은 면사무소가 있는 읍리 마을과 그 주변의 당리 마을에 집중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3.95㎢, 밭 3.55㎢, 임야 6.30㎢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 보리 · 고구마 · 콩 · 참깨 · 마늘 등이 생산된다. 근해에서 전어 · 도미 · 갈치 · 문어 · 낙지 · 고막 · 조개 · 새우 등이 어획되며, 김 양식과 파래 · 돌김․미역 등을 채취한다. 염전이 많아 다도해 염전지대의 중심을 이룬다. 팔금도의 특산물로는 마늘․김․낙지․천일염․브로콜리․고사리 등이 있다.

교통은 팔금도∼목포간 정기여객선이 운항하며, 주변 섬들로도 여객선이 운항한다. 안좌도 및 암태도와는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팔금초등학교 1개소가 있고, 팔금중학교는 2011년 3월에 안좌중학교 팔금분교장이 되었다.

읍리에 있는 신안읍리3층석탑은 1978년 지정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옛날에 당신(堂神)이 있었다 하여 매년 음력 정월보름날 제사를 지내고 악신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빌고 즐겼다고 한다.

참고문헌

『신안통계연보』(신안군, 2010)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도서지』(내무부, 1985)
『도정백서』(전라남도, 1981)
신안군청(www.shinan.go.kr)
팔금면사무소(palgeum.shinan.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