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단 ()

목차
국악
작품
평조단가(平調短歌)의 줄임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평조단가(平調短歌)의 줄임말.
내용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에 처음 보이는데, 이 고악보는『양금신보(梁琴新譜)』와『금보신증가령(琴譜新證假令)』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믿어진다.

『어은보(漁隱譜)』에는 계면조단가(界面調短歌)와 평조삭대엽이 보이는데, 그 삭대엽 밑에 ‘短歌也(단다야)’라고 작은 글씨로 쓰여 있어 삭대엽 즉 단가임을 밝혀주고 있다.『백운암금보』의 평단은 가곡처럼 일지(一旨)·이지·삼지·반여음(半餘音)으로 되어 있고, 사설이 빠진 합자보(合字譜)로 기보되어 있다.

평단의 음악과 다른 고악보들, 즉『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증보고금보(增補古琴譜)』·『금보신증가령』·『한금신보(韓琴新譜)』·『신작금보(新作琴譜)』·『어은보』·『낭옹신보(浪翁新譜)』 등의 평조삭대엽의 음악을 비교해본 결과 평단은 곧 평조삭대엽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단가라 함은 장가의 반대말로서 시조시(時調詩)을 얹어 부르는 가곡의 별칭이다.

참고문헌

「백운암금보 해제」(이혜구, 『음대학보』창간호, 서울대학교음악대학,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