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개성고속도로 ()

목차
교통
지명
북한의 평양직할시과 개성시를 잇는 고속도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평양직할시과 개성시를 잇는 고속도로.
내용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開城高速道路)는 평양직할시 남쪽 관문에서 시작하여 정방산, 멸악산, 아호비령산맥을 가로질러 판문점 서쪽 3.5㎞ 지점까지 연결된 고속도로이다. 1987년 12월 개성시 동남쪽 2㎞ 지점에서 착공하여, 김일성의 80번째 생일인 1992년 4월 15일에 맞춰 완공되었다.

북한의 도로정책은 철도 중심의 교통체계 확립에 기초하고 있다. 도로는 철도를 보조하는 이른바 주종철도(主從鐵道)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주요 간선도로는 대부분 산업과 공장지대 및 인구 밀집 지역에 따라 동서 해안에 철도와 병행하여 건설되었다. 평양은 서해안 일대의 중심지로, 북한 도로망 가운데 판문점∼개성∼평양∼신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축의 중심이다. 약 400㎞에 달하는 서해축 가운데 평양개성고속도로의 총연장은 167㎞이며, 노폭 24미터의 4차선 도로로, 아스팔트 포장도로이다. 이 고속도로는 1992년 완공 당시 북한의 유일한 아스팔트 포장도로로, 건설공사를 위해 군병력 5,000∼1만여 명이 상시 동원되었다.

이 고속도로에는 12개의 톨게이트, 18개의 터널, 84개의 교량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대 경사로가 4°미만인 완만한 도로이다. 거의 직선화되어 있는 이 도로의 제한 속도는 110㎞이다.

참고문헌

『신북한지리지』(배기찬, 다나, 1994)
『조선관광문답』(조선국제려행사, 1994)
「북한의 고속도로 전망 및 AHP기법을 활용한 투자우선수위 결정」(설영만·조윤호,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2 no.2, 한국토지주택공사, 2011)
「북한의 도로망 실태와 과제」(이성수,『국토』통권 282호,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