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외국어대학 ()

학교교육
단체
북한에서 외국어 분야의 최고전문가를 양성하는 평양시 소재의 고등교육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에서 외국어 분야의 최고전문가를 양성하는 평양시 소재의 고등교육기관.
개설

평양외국어대학은 평양시 대성구역에 위치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외국어 분야에서 북한 최고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평양외국어대학은 1949년 11월 15일에 설립된 평양로어대학을 모체로 한다. 평양로어대학은 창립시 본과와 속성과가 설치되었는데, 본과는 3년, 속성과는 1년이었으며, 교직원 수는 59명, 학생수는 300여 명이었다. 1952년 12월 27일에 중국어, 영어 등을 교육하는 외국어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60년에는 동방어학부, 서방어학부, 국제관계학부, 무역경제학부 등 4개 학부에서 7개 국어를 다루는 외국어 부문의 최고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되었다.

현황

학제는 5년제로, 영어학부, 중국어학부, 로어학부, 일본어학부, 민족어학부 등 5개 학부 21개 전공이 설치되어 있다. 민족어학부는 캄보디아어, 라오스어, 힌두어, 우루두어(파키스탄어), 말이어(말레이시아어), 타이어, 포르투갈어, 페르시아어, 체코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 마자르어(헝가리어) 등의 전공이 있다. 어종별 강좌, 외국어연구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학생과 재직일군강습소, 동시통역연구소, 박사원이 부설되어 있다. 시설로는 도서관, 30여 개의 시청각수업실, 녹음녹화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다. 2010년부터는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외국어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일반과목과 기초과목도 전부 외국어로 강의한다는 방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전체 학생 수는 약 2천명 정도이며, 졸업생들에게는 외국어전문가 자격을 수여한다.

의의와 평가

평양외국어대학은 외국어 부문의 최고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으며, 외교 및 통상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와 유학생 후보자들에 대한 외국어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 대학의 졸업생 중 다수가 당 국제부, 내각 외무부,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 외교와 대외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국가기관에 배치되어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조선교육사 3』(김창호, 1990, 사회과학출판사)
「2개 외국어는 필수, 과외활동 통해 제3, 제4 외국어에 도전」(『민족 21』 107호, 2010)
「과학기술중시정책 영향」(『민족 21』 72호,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