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조 ()

목차
국악
개념
판소리 · 산조 · 고사염불에 사용되는 악조. 음악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판소리 · 산조 · 고사염불에 사용되는 악조. 음악용어.
내용

판소리 및 산조에서 가곡(歌曲)이나 풍류(風流)와 비슷한 선율에 대한 명칭이 호령제·시조목 등 여러 말로 불리다가 조선 말기에 가곡의 조이름인 우조(羽調)와 계면조(界面調)라는 말을 빌려 쓰면서 가곡·풍류와 비슷한 선율을 우조라 하였고, 육자배기·남도무가·시나위와 비슷한 선율을 계면조라 불렀다.

그 뒤에 정가(正歌)에 쓰이는 평조의 용어를 차용하면서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는 다시 우조대목과 평조대목으로 구분되었다. 판소리와 산조에서 우조와 평조의 음악적 특징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흔히 진양에서는 처음에 우조대목이 주로 나오고 이어서 평조대목이 따라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는 평조대목이 많고 우조대목이 적으며 자진모리에서는 우조대목이 많다.

평조대목의 선율구성은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솔(당)·라(동)·도(징)·레(땅)·미(지)로 되어 있고, 솔(당)과 도(징)가 주요음 구실을 하며 흔히 도(징)로 마친다. 그러나 솔·라 사이와 도·레 사이는 서양음악의 평균율 장2도보다 조금 좁고 레와 미 사이는 장2도보다 조금 넓은데, 연주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솔(당)에서는 떠는 목을 쓰고 레(땅)에서는 가곡의 퇴성(退聲)과 같은 꺾는 목을 쓴다. 판소리와 산조에서 평조로 된 음악은 가곡 계면조와 비슷한 느낌을 주며, 흔히 화창하고 화평스러운 느낌을 준다.

판소리에서 평조대목은 많으나 <춘향가>의 ‘기산영수’·‘적성가’ 끝대목과 <심청가>의 ‘화초타령’ 등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산조에서 평조대목 역시 많으나 심상건(沈相健) 가야금산조 진양 첫대목, 김죽파(金竹坡) 가야금산조 진양 우조 다음 대목, 함동정월(咸洞庭月) 가야금산조 중중모리대목을 예로 들 수 있다.

고사염불에서 메나리토리로 된 <반맥이>라는 선율에 견주어 경토리로 된 고사염불을 말한다. 평조 고사염불은 구성음이 솔·라·도·레·미 혹은 파로 되어 있고, 솔이나 도로 마치는 경기민요 선율로 되어 있다.

평조 고사염불 가운데 고사 끝에 부르는 뒷염불 중 <부모은중경>이 <회심곡>이라는 이름으로 민요소리꾼들에 의하여 흔히 불리고 있다.

참고문헌

「가야금산조의 틀에 대한 소고」(이재숙, 『이혜구박사송수기념음악학논총(李惠求博士頌壽紀念音樂學論叢)』, 한국국악학회, 1969)
「화청(和請)과 고사염불(告詞念佛)」(한만영, 『장사훈박사송수기념동양음악논총(張師勛博士頌壽紀念東洋音樂論叢)」, 한국국악학회,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