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서 (producer)

목차
언론·방송
개념
방송프로그램의 작품 제작 · 선정 · 연출과 인력관리 · 예산사용 등을 총괄하는 방송책임자.
목차
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작품 제작 · 선정 · 연출과 인력관리 · 예산사용 등을 총괄하는 방송책임자.
내용

흔히 제작자(producer)와 연출자(director)라는 직종이 엄밀히 구별되지 않고, 겸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제작자 겸 연출자라는 뜻에서 PD라는 말이 생겨났고, ‘PD’가 곧 프로듀서의 약자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나, 이는 엄밀한 의미에서 잘못이다.

일부 매스컴 학자나 방송실무자들은 PD를 planning director(기획연출자) 혹은 program director (프로그램 연출자)의 약자로 보기도 하나, 우리 나라 PD의 기능으로 미루어보아 producer and director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성이 있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텔레비전 프로듀서 아래는 조프로듀서(associate producer)와 연출자(director)가 있다. 조프로듀서는 AP로 약칭되는데, 프로듀서의 보좌역을 담당한다. 연출자를 돕는 사람들로는 조연출자(AD)와 플로어 매니저(FM), 그리고 제작보(PA)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 나라 최초의 텔레비전프로듀서로는 초창기 방송의 대표적 인물인 최창봉(崔彰鳳)을 들 수 있다. 그는 1956년 한국텔레비전주식회사(KORCAD TV, HLKZ-TV)의 개국 초부터 프로듀서로 활약한 바 있다. 이 때 활약한 최창봉 · 이기하(李基夏) · 최덕수(崔德壽) 등의 프로듀서들의 노력은 이 땅의 텔레비전 문화에 새로운 꽃을 피우는 밑거름이 되었다.

프로듀서는 변화무쌍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항상 민감하게 대응하고, 신선한 시대감각을 도구로 그의 창작의욕을 끊임없이 연소시킬 때, 비로소 참다운 문화의 개척자로서의 주어진 소명을 다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기획면에 있어서 사물의 진실을 파악하기 위하여 항상 현실을 투시하는 냉철한 판단력과 비판력, 아울러 방송저널리스트로서의 의욕적인 제작태도를 가져야 한다.

흔히 텔레비전은 프로듀서의 예술이라 한다. 그러므로 프로듀서는 텔리비전의 표현상의 특성 등에 관하여 폭넓은 지식을 가져야 한다. 특히, 전문적인 지식을 텔레비전적 표현에 의해서 제시하는 작업은 어려운 문제이기는 하나, 보다 현대적인 프로듀서의 과제로서 더욱 개발되어야 할 분야이다. 또한, 예술가적 감각과 교육자적 사명, 저널리스트적 센스를 고루 갖추어야 하는 직종이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