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학회 ()

영화
단체
영화에 관한 전문 이론을 강의하는 대학의 교수 및 강사 등으로 구성된 모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영화에 관한 전문 이론을 강의하는 대학의 교수 및 강사 등으로 구성된 모임.
연원 및 변천

1971년 5월 28일 대학에서 영화학 강좌를 맡고 있는 교수와 평론가 22인이 주축이 되어 창립되었다. 영화에 관한 연구와 사업 및 친목을 목적으로 한 이 학회는 초대 회장 김소동(한양대), 부회장 김은우(이화여대) · 현상열(한양대), 상임이사 김남석(한양대), 이사 김정옥(중앙대) · 유현목(동국대) · 이응우(중앙대) · 신봉승(경희대), 감사 장호섭(한양대) · 최재복(중앙대) 등으로 출발하였다.

1974년 7월 학회지 『영상예술』을 창간하였는데, 여기에는 「영상의 표의성(表意性)에 관한 연구」(이응우) · 「백남 윤교중-최초의 감독, 최초의 제작자」(노만) · 「한국영화예술과 그 서설」(신봉승) · 「영화비평의 지성과 예술적 가치」(김은우) 등 논문 10편이 수록되었다.

1988년 12월에는 부진했던 활동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전국영화교수협의를 주축으로 재건총회를 개회하고, 학회지도 『한국영화학회지』로 바꾸었다. 1995년에는 "광복 50주년, 영화 100주년 기념 학술 대회 ‘한국 영화를 다시 읽는다’"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1999년에는 학회지 명칭을 『영화연구』로 바꾸었다. 『영화연구』는 2007년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2000년에는 "북한 영화 연구"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고, 2002년에는 "한국 독립영화의 위상과 전망"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2004년에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문화의 다양성 재고"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였고, 2006년에는 "동아시아 영화학자회의1 - 한국과 중국(East Asia Symposium for Film Industry and studies - Korea & China)"를 개최하였다. 2008년에는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일제 강점기 배경의 한국영화, 그 매혹과 분열증(Constrained by History, Fascinated by Aesthetic: Representing Japanese Colonial Period)"을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2016년에는 "한국영화산업의 현 상황 점검과 대안 찾기"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고, 2022년에는 학회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영화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2024년에는 "한국 영화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현황

학회지 『영화연구』를 발간하고 있다. 한편 영화학과 관련된 도서 및 자료를 수집하고, 국제적인 학술 교류를 통해서 한국 영화를 해외에 소개하는 역할들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영화학회 홈페이지(http://www.kca1971.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