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송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심사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심사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활자본. 1796년(정조 20) 손자 문영(文永)이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남유용(南有容)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서(書)·서(序)·기(記)·제발(題跋)·제문·애사(哀辭)·행장·잡저·통문·상량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지명·유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1758년(영조 34) 효자로 정려(旌閭)가 내려지기도 하였던 저자는, 여러 사람들이 서와 부록 등에서 말하였듯이, 위기(爲己)의 학문, 실천의 학문을 주로 하였고, 시나 문은 그에게 있어 여사(餘事)였던 까닭에 남긴 시문이 많지 않다.

시문은 평이(平易)하고 담박(淡泊)하여 저자의 순실(醇實)하였던 인간상을 나타내어주고 있을 뿐, 방박(磅礴)하다거나 기고(奇高)한 시인 특유의 풍미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훈아배(訓兒輩)」라 하여 가훈(家訓)의 성격을 띤 몇 조항의 글과, 교원(校院)·양반·서민·향청(鄕廳)·관속(官屬)별로 그들이 각각 지켜야 할 위치와 가야 할 방향을 나름대로 제시한 「유시문(諭示文)」 등이 저자의 학문과 인생을 보여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