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주집 ()

목차
관련 정보
한주집
한주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진상의 시 · 소 · 서(書)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진상의 시 · 소 · 서(書)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한주집≫은 두 가지 판본이 있다. 처음 간행된 것은 1895년(고종 32) 3월 거창군 정천(井泉)의 원천정(源泉亭)에서 목활자로 간행된 을미본(乙未本)이다.

을미본은 갑오농민전쟁의 혼란 속에서 아들 승희(承熙)와 제자인 허유(許愈)·김진호(金鎭祜)·이두훈(李斗勳) 등이 모여 편집, 교정하였다. 을미본은 시 3권, 소(疏)·책(策) 1권, 서(書) 28권, 서(序)·기·발·논·설·변 등 6권, 잡저 7권, 명·잠·제문·비지(碑誌)·전(傳) 등 4권의 49권과 목록 1책을 합해 25책으로 간행되었다. 혼란기에 서두르다 보니 정밀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

두번째 간행된 것은 목판본으로, 승희가 저자의 제자 곽종석(郭鍾錫)과 상의하여 문집의 권수를 줄이고, 정밀하게 다시 편집한 것이다. 이 두번째 판본은 승희와 곽종석이 모두 죽은 뒤 1927년에 성주(星州)의 삼봉서당(三峯書堂)에서 간행되었다.

정미본(丁未本)은 을미본에 들어 있던 <묘충록 畝忠錄> 등을 빼고 시 3권, 소·책 1권, 서(書) 24권, 서(序)·기 1권, 발 1권, 잡저 4권, 명·잠·양(樑)·송(頌)·제문 1권, 비(碑)·갈(碣)·지(誌)·행장 3권의 38권 20책으로 편집하고, 부록 5권 2책을 첨가하여 총 22책의 완본을 이루었다. 정미본은 초판인 을미본 25책보다 부록 2책이 증가되었으나, <묘충록> 2책과 그 밖의 3책이 줄어들어 22책이 된 것이다.

이진상의 문집 이외에 많은 저술들이 한데 묶어져 1980년≪한주전서 寒洲全書≫ 5책으로 아세아문화사(亞細亞文化社)에서 영인, 간행되었다. ≪한주전서≫의 제1책에는 정미본 ≪한주선생문집≫이 실려 있다.

≪한주집≫ 권4의 <의청비북변소 擬請備北邊疏>·<의진시폐잉진묘충록소 擬陳時弊仍進畝忠錄疏>·<청추숭장헌세자왕호소 請追崇莊獻世子王號疏>·<청복설사원소 請復設祠院疏>과, <응지대삼정책 應旨對三政策> 등은 그가 시대 문제에 지닌 관심과 태도를 알 수 있게 한다.

권5∼28의 서(書)에는 스승 유치명(柳致明)을 편지를 비롯해 선배인 허전(許傳)·장석우(張錫愚) 등과 성리설에 관해 주고받은 편지가 있다. 김기응(金箕應)·김영규(金泳奎)·김흥락(金興洛)·장복추(張福樞)·이종상(李鍾祥)·허훈(許薰)·정재규(鄭載圭)·이종기(李種杞)를 비롯해 제자인 허유·곽종석·장석영(張錫英)·윤주하(尹胄夏)·이두훈 등과 주고받은 편지도 성리설에 대한 치밀한 토론을 담고 있어 학문적 가치가 매우 높다.

권29의 서(序)에는 저자 자신의 대표적 저술인 ≪이학종요 理學綜要≫·≪사례집요 四禮輯要≫·≪춘추집전 春秋集傳≫·≪춘추익전 春秋翼傳≫·≪직자심결 直字心訣≫ 등의 서문이 실려 있다.

권31∼34의 잡저에는 그의 성리학적 기본 입장을 천명한 <심즉리설 心卽理說>을 비롯해 <인물성동이설 人物性同異說>·<사칠경위설 四七經緯說>·<사칠원위설 四七原委說>·<주재도설 主宰圖說>·<심역동정도설 心易動靜圖說> 등 성리학설의 체계적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그의 저술에 대한 후설(後說)로는 <대학차의후설 大學箚義後說>·<중용차의후설>·<태극도차의후설>·<통서차의후설 通書箚義後說>·<주자대전고의후설 朱子大全考疑後說>·<심자고증후설 心字攷證後說>·<사칠변후설 四七辨後說> 등이 있다. 권35의 잠에는 <야기잠 夜氣箴>과 <명성잠 明誠箴>이 있어서 그의 수양론적 관심을 보여준다.

부록에는 세계도(世系圖)와 연보를 비롯해 아들 승희가 지은 행록(行錄), 곽종석의 행장, 장석영의 묘지명, 승희의 묘표, 그의 저술이 간행된 것을 사당에 고하는 고성문(告成文), 저자에 대한 만(輓)과 제문을 모아 놓았다.

이진상은 당대의 대표적 성리학자요, 한 학파를 뚜렷이 형성하였던 학문적 종장(宗匠)이었다. 그런 만큼 그의 문집은 그 속의 서(書)나, 잡저 한 편마다 성리설의 예리한 분석과 토론을 가득 담은, 압축적이고 밀도 높은 중요한 문헌 자료라고 평가되고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참고문헌

「한주전서해제(寒洲全書解題)」(송찬식, 『한주전서(寒洲全書)』 1, 아세아문화사, 198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금장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