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춘향가」중 신관사또가 수청들지 않는다고 춘향이를 매질하게 하는 대목과 그것을 보고 불쌍해하는 구경꾼들의 동정, 춘향의 굽힘없는 수절을 잡가로 엮은 것이다.
출현음은 F(레)-G(미)-c(라)-eb(도)-f(레)-g(미)인데, 그 중 레-라-도의 3음이 현저하여, 「유산가」처럼 서도소리의 음계에 속한다. 장단은 「제비가」에서 처럼 처음 도드리로 나가다가 뒤에 세마치로 바꾸어진다. 형식은 도드리장단 부분이 4마루, 세마치부분이 18마루로 되어 있다. 가사의 첫 부분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형장(刑杖) 태장(笞杖) 삼(三) 모진 도리매로 하날치고 짐작(斟酌)할까 둘을 치고 그만둘까/삼십도(三十度)에 맹장(猛杖 : 매를 몹시 침)하니 일촌간장(一寸肝臟) 다 녹는다/걸렸구나 걸렸구나 일등춘향이 걸렸구나/사또분부 지엄하니 인정일랑 두지 마라/국곡투식(國穀偸食 : 나라의 곡식을 훔쳐 먹음) 하였느냐 엄형중치(嚴刑重治 : 엄한 형벌로 중히 다룸)는 무삼일고/살인도모 하였느냐 항쇄족쇄(項鎖足鎖 : 목에 칼을 씌우고 발에 착고를 채움)는 무삼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