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우창 ()

근대사
인물
개항기 예조판서,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관료.
이칭
유성(幼盛)
소운(小芸)
시호
정헌(貞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9년(순조 19)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풍산(豊山)
출생지
서울
정의
개항기 예조판서,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유성(幼盛), 호는 소운(小芸). 서울 출신. 도정 홍한주(洪翰周)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부수찬에 임명되고 이어 사간원헌납이 되었다.

1875년 성균관대사성을 역임하고 이어 동래부사가 되어, 이듬 해 부산주재 일본 관리관 곤도[近藤眞鋤]와 「부산항일인거류지조계조약(釜山港日人居留地租界條約)」을 체결하였다. 1877년 다시 곤도와 「조일표류선취급협정(朝日漂流船取扱協定)」을 체결, 그 수완을 인정받아 그 해 도총부부총관에 특별 발탁되고, 이어 예조참판이 되었다.

1879년초 일본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의 접반관(接伴官)이 되어 원산·인천 등지의 개항을 서두르는 일본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 공로로 1880년 정경(正卿)으로 승탁(陞擢), 형조판서에 이어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1년 진위겸진향사(陳慰兼進香使)로 중국에 다녀와 이듬 해 경기도관찰사가 되었고, 임오군란 당시에는 중국제독 우창칭(吳長慶)을 영접하였다.

1883년 이래 수원부유수로 재직하다가 1888년 판의금부사, 곧 이어 다시 예조판서, 이듬해 의정부좌참찬을 역임하고, 1890년 재차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글씨를 잘 썼는데 특히 전서에 능하였다. 시호는 정헌(貞憲)이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순종실록』
『고종기사』
『승정원일기』
『문과방목』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