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지 금동불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황룡사지 금동불입상
황룡사지 금동불입상
조각
유물
고신라시대의 불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신라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20.1㎝.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배면(背面)이 없는 이른바 편불 기법(偏佛技法)으로 조성된 불상이다. 머리는 떨어져 나갔다. 어깨와 등에는 녹아 내린 흔적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의 몽고 침략 때에 불에 맞은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 작은 체구이지만 어깨가 넓고 가슴이 당당하여 위엄 있는 모습이 넘치고 있다. 그래서 몽고 침입 때 불타 버린 황룡사장륙삼존상(皇龍寺丈六三尊像)의 본존상을 연상시킨다.

두 손도 없어졌지만 팔의 위치로 보아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수인을 짓고 있다. 당당한 체구와 함께 삼국시대 초기 불상들의 특징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양쪽으로 뻗친 옷자락은 누그러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보다는 경4년명금동불입상(景四年銘金銅佛立像)에 근접한다.

가슴의 U자형 옷깃이 높고 두꺼운 것은 연가명불상이나 경4년명불상과 마찬가지로 생각된다. 하지만 옷깃이 넓고 승각기(僧脚岐)와 띠 매듭이 표현된 것 등은 변모된 점인 것 같다. 그러나 왼쪽 손목으로 넘어가는 두껍고 힘찬 가사 자락이 역시 이들 불상과 비슷하다. 하체에는 U자형 옷주름의 높게 돌출한 선이 오른쪽으로 약간 비껴 내려가고 있다. 이 또한 위의 불상과 동일한 수법이다.

날개처럼 뻗친 양쪽 옷자락은 다소 누그러졌고 옷의 끝단 주름은 좀더 장식화되었다. 연가명불상(539)보다는 다소 뒤지겠지만, 경4년명금동불입상(563)보다는 오히려 앞선 양식으로 생각된다. 이 금동불입상은 황룡사장륙상의 형태를 가장 잘 보여 주는 유례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고신라 최고(最古)의 불상으로 주목되고 있다.

참고문헌

『황룡사(皇龍寺) 유적발굴조사보고서(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문화재관리국,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