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덕 쌍청당 (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회덕 쌍청당 우측면
대전 회덕 쌍청당 우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송유가 별서로 사용한 건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회덕쌍청당(懷德雙淸堂)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대덕구 쌍청당로 17 (중리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송유가 별서로 사용한 건물.
내용

정면 3칸(7.54m), 측면 2칸(4.4m).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쌍청당은 송유(宋愉)의 호로, 그의 별서(別墅 : 한적하게 지은 집) 건물이다.

세종 14년(1432)에 송유가 처음 지었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불탄 뒤 광해군 8년(1616)에 다시 중창하였다. 화강암의 석축기단 위에 서남향으로 세운 건물로, 우측 2칸통은 대청, 좌측 1칸통은 온돌방이다. 그 북쪽에는 반칸짜리 달림채를 두고, 윗부분은 반침(半寢), 아래는 함실(函室)로 사용하였다.

모난 기둥을 사용하여 직접 붓머리와 도리를 받쳤고, 그 밑에 양봉형(樑奉形)의 부재(部材)로 대들보를 지탱하고, 초익공(初翼工) 계통의 형식을 갖추었다. 창방과 문틀 위의 인방(引枋)과의 사이에 소로[小累]를 배치하고, 지붕틀 짜임은 앞뒤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량(宗樑)을 받쳤다.

제형대공(梯形臺工)은 표면에 연화문을 새겨 파련대공(波蓮臺工)의 여음을 남기고 있다. 집안에는 박연(朴堧)의 제(題), 김상용(金尙容)의 쌍청당서액(雙淸堂書額), 박팽년(朴彭年) · 안평대군(安平大君) 등의 제시(題詩)와 기문(記文)이 남아 있다.

집필자
이강승(국립부여박물관,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