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1.66m, 불상 높이 0.96m. 1981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중대석(中臺石)이 결실된 대좌 위에 가부좌한 비로자나석불로 현재 머리가 없어지고 불상 표면은 마멸이 심하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으로 양어깨에서 겨드랑이 사이로 모이는 쐐기형의 굵은 골 주름이 선명하다. 복부에는 군의(裙衣)를 묶은 허리띠 매듭이 노출되어 있다.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하여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의 수인을 맺었다.
하지만 작고 가느다란 손과 양팔을 몸에 바짝 붙여 움츠린 자세, 빈약한 하체 등, 이 불상 역시 지권인의 여래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팔과 신체 사이의 조형이 유기적으로 조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대좌는 역동적인 연꽃이 조각된 사각 대좌로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 지대석(地臺石)까지 완비하였다. 상대석과 하대석의 연꽃은 볼륨이 강한 8엽의 복판(複瓣 : 겹잎)으로 이루어진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다. 하대석의 받침에는 2구씩의 안상(眼象) 무늬가 새겨져 있다.
당당함을 잃은 밋밋한 상체와 좁고 낮은 하체, 위축된 지권인의 신체 조형, 잎 끝이 예리하게 반전하는 복판 연화문의 형식 그리고 섬약한 안상 무늬의 형식 등에서 조성 시기는 고려 초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전북 지방의 석불들은 통일신라 후기의 것은 적고, 후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것이 많다. 그리고 여래상은 일반적인 통인(通印)이나 설법인(說法印)의 입상이 대부분이다.
이 석불은 비록 머리가 없지만 전북 지방에서도 지권인(智拳印)의 여래형 비로자나불이 조성되었음을 알려 주는 귀중한 예이다. 이외의 전북 지방 비로자나불로는 임실의 중기사(中基寺) 석불 정도가 알려져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