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손

목차
관련 정보
흙손
흙손
건축
물품
집이나 담의 벽에 흙이나 회(灰)를 바르는 데 쓰이는 연장.
목차
정의
집이나 담의 벽에 흙이나 회(灰)를 바르는 데 쓰이는 연장.
내용

미장이가 사용한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재물보(才物譜)』에서는 미장이의 작업을 ‘익(𡎳: 흙을 이기다)’·‘앙도(仰塗 : 앙벽치다)’·‘도만(塗槾 : 흙질하다)’·말만(抹鏝 : 흙을 섞다)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이용되는 도구로는 만(鏝 : 흙손)·이탁(泥托 : 흙받기)·분(畚 : 흙삼태기)을 들었다. 『훈몽자회』에는 ‘흙손 오(杇)’로 적혀 있다.

바닥이 나무로 된 나무흙손과 쇠로 된 쇠흙손이 있다. 바닥은 용도에 따라 모양·크기 등이 조금씩 다르며, 손잡이의 형상도 조금씩 다르다. 일반적인 것은 바닥 앞부분이 삼각형·반원형 또는 앞끝이 뾰죽한 잎사귀 모양을 하고 있으며, 손잡이는 바닥 윗부분에 짧고 둥근 나무로 만든다.

조금 특수한 것으로는 벽의 모서리 등을 마무리하는 데 사용하는 흙손이 있는데, 바닥이 가느다랗고 손잡이는 바닥보다 뒤쪽에 달려 있어 손이 잘 안 가는 부분도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흙손은 대개 흙받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흙받기는 네모난 나무판 밑에 손잡이를 붙인 것으로 흙받기에 소량의 재료를 얹어놓고 흙손질을 한다.

참고문헌

『훈몽자회(訓蒙字會)』
『재물보(才物譜)』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동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