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충장공시고 판목 ( )

목차
관련 정보
남충장공시고 판목
남충장공시고 판목
출판
유물
국가유산
조선 영조 때의 무신 충장공 남연년(南延年)의 시고 판목.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남충장공시고 목판(南忠壯公詩稿 木板)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12월 06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음성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영조 때의 무신 충장공 남연년(南延年)의 시고 판목.
개설

남연년(1653∼1728)은 본관이 의령(宜寧)으로, 24세에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을 거쳐 여러 벼슬을 지냈다. 1727년(영조 3)에 청주영장(淸州營將)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는데,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청주영을 지키다 순절하였다. 좌찬성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이 판목은 초고 4책과 목판 52판으로, 2002년 12월 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소재 의령남씨양정공파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판목은 초고본 4책과 1748년에 초고본의 시 1,628수 가운데 100수의 시를 홍계희(洪啓禧)가 산절하여 간행한 목판본의 판목 52판으로 되어 있다.

4책의 초고본 중 1책에 오언소시 130수, 칠언소시 310수, 2책에 오언사운 180수, 칠언사운 180수, 3책에 칠언소시 270수, 오언사운 6수, 칠언사운 156수, 4책에 칠언사운 376수, 오언고시 20수 등 모두 1,628수의 시가 있다.

판목의 서(序)는 4판인데 민우수(閔遇洙)가 지었고, 원고 25판은 시 100수, 부록 18판은 홍계희가 지은 치제문(致祭文), 황경원(黃景源)이 지은 행장, 이재(李縡)가 지은 신도비명병서(神道碑銘幷序), 이관명(李觀命) 등이 지은 만사(輓詞) 14수이다. 그리고 홍계희가 쓴 발(跋) 4판과 표제(標題) 1판이 있다. 초고본 중 1책은 74면, 2책은 120면, 3책은 100면, 4책은 136면이며, 행수는 12행이다. 판목 크기는 가로 47㎝, 세로 23㎝, 두께 1㎝ 내외이다.

의의와 평가

이 판목은 시문집으로서, 결판없이 전판이 보존되어 있어 시문 연구는 물론, 목판의 각자(刻字) 및 서체의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강좌전(江左集)』
『남충장공시고(南忠壯公詩稿)』
『미호집(渼湖集)』
「남충장공시고의 편차와 산절에 관한 연구」(박문열,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4, 2003)
「남충장공시고고」(박문열, 『청주대학교 박물관보』15, 200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