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 ( )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
불교
문헌
국가유산
송나라 승려 고봉화상의 법문집으로,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소장된 불교서. 복장유물.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고봉화상선요(寶林寺四天王像腹藏高峰和尙禪要)
분류
기록유산/문서류/사찰문서/기타류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8년 08월 20일 지정)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송나라 승려 고봉화상의 법문집으로,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소장된 불교서. 복장유물.
개설

보림사 사천왕상의 복장유물로, 중국 송나라의 고승 고봉화상의 법문 중 선(禪)의 요체만을 간추려서 설명한 책이다. 현전하는 판본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덕기사판은 원간본(原刊本)을 그대로 복각한 것으로 고려본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저지(楮紙)에 10행 18자이며, 무계이다. 전체 크기는 22.5×14.5㎝, 반곽의 크기는 17.3×12.6㎝이다.

내용

이 책은 1399년(정종 1) 지리산 덕기사에서 개판된 현존 최고본으로, 고봉화상의 시자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홍교조(洪喬祖)가 편록하여 ‘선요’라 이름을 붙였으며, 책머리에 홍교조의 서문과 주영달(朱潁遠)의 발문이 있다. 총 29장 1책으로, 모두가 큰 뜻을 분발하여 조사의 현관을 뚫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358년(공민왕 7)에 최초로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 이전에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고승 지엄(智嚴)이 이를 매우 중시하여 수행인은 반드시 이 책을 읽고 장애를 없앨 것을 강조하였다. 그 뒤 청허(淸虛)의 4세 법손인 설제(雪霽)가 사집과에 편입시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불교 강원의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다.

『고봉화상선요』는 우리나라에서 30여 종의 비교적 많은 판본이 전래되고 있으며, 보림사의 복장유물에서 이 중 8종이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는 최고본(最古本)으로, 이 책이 간행된 이후로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전문강원의 중등과정인 사집과의 세 번째 과목으로 채택되어 널리 독송되었으며, 그 전통은 지금까지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보림사』(최인선·양기수·김희태, 학연문화사, 2002)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8)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불서」(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2002)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불서 지정조사보고서」(송일기·전종주·김희태, 『지방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전라남도, 1998.4)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