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교리 방단석조물 ( )

고려시대사
유적
문화재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에서 활용하기 위해 건립한 불교적인 조형물.
이칭
이칭
제천 교리 적석탑, 제천 교리 방단적석유구
유적/탑·비
건립 시기
고려
재질
화강암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관련 국가
고려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00년 12월 22일 지정)
소재지
충북 제천시 청풍면 교리 산16번지
내용 요약

제천교리방단석조물(堤川校里方壇石造物)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에서 활용하기 위해 건립한 불교적인 조형물이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불교 신앙이 성행하고, 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전국 각지의 사찰에 여러 재질과 유형으로 예불이나 사리 봉안 등 특별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양식의 탑을 건립하였다. 제천교리방단석조물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 세운 조형물이다.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에서 활용하기 위해 건립한 불교적인 조형물.
건립 경위

제천교리방단석조물은 충청북도 제천시에 자리한 금수산 자락의 낮은 구릉 위에 조성되어 있는데, 아래에는 넓은 암반이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다. 주변에는 사찰 관련 흔적으로 보이는 석축과 건물지의 초석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사찰에서 예불이나 사리 봉안 등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변천

지금은 어느 시기에 도굴되거나 붕괴한 것을 차곡차곡 쌓아 방단형의 2단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원래의 모습은 알 수 없지만, 경상북도 안동이나 의성 석탑리에 있는 방단형 적석탑처럼 넓고 높게 탑의 형태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형태와 특징

암반 위에 화강암을 길이 30~40㎝, 두께 5~15㎝ 정도의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석단을 조성하였다. 기단부는 한 변의 길이가 4m로 정방형이며 높이는 약 1m이다. 초층 탑신부는 107㎝ 정도 높이의 층을 이루고 있고, 그 위에 한 변의 길이가 211㎝ 정도 되는 네모 모양의 주1 부분이 있다.

현재 자연석에 가까운 납작한 주2들을 쌓아 석축처럼 구성하였는데, 아랫단은 상당히 넓고, 윗단은 좁게 마련하였다. 사용된 부재들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납작한 형태의 자연석을 정연하게 다듬지도 않고 그대로 활용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전체적인 외관과 조영 기법이 투박하고 정교함은 떨어지지만 자연스러운 멋을 풍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지금도 조형물 주변에 파손된 납작한 부재들이 흩어져 있어, 원래는 상당한 규모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이나 안동 조탑동 모전석탑처럼 벽돌 형태로 다듬은 돌을 활용하여 건립한 모전석탑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처럼 제천교리방단석조물은 우리나라에서 흔하지 않은 적석유구이자 적석탑의 조영 기법 등을 전하고 있어 귀중한 자료로서, 사찰에서 적석탑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과 유형의 탑이 건립되었음을 시사받을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일대에서는 고려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주3이나 파상문이 새겨진 기와들이 출토되어 방단형 조형물의 건립 시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단형 조형물도 고려시대에 들어와 사찰에 건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고려시대에 불교 신앙이 전국 각지에서 성행하고 많은 불사가 이루어지면서 지역별, 사찰별, 장인별에 따라 여러 재질과 유형으로 다양한 양식의 탑이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제천시지』(제천시지편찬위원회, 2005)
정영호, 『한국의 석조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논문

정영호, 「제천의 모전석탑 2기」(『고고미술』 2-1, 고고미술동인회, 1960)
주석
주1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우리말샘

주2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여러 가지 재료.    우리말샘

주3

문살을 바둑판처럼 가로세로가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짠 문.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