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의 거북바위로 불리는 자연석 암반 위에 조성한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의 총높이는 7.17m이며, 다소 경사를 이룬 암반을 평평하게 다듬어 지대석으로 삼고 그 위에 탑신부를 구성하였다. 기단부를 겸한 1층 탑신은 4매 판석으로 결구하였는데, 각 면의 양쪽 귀퉁이에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부분 중앙으로 보조 우주가 하나씩 얕게 표출되었다. 이 같은 보조 우주의 예는 고려시대의 석탑에서 가끔 볼 수 있으며 면석에 감실형의 홈을 판 예는 곡성 가곡리 오층석탑에서 볼 수 있다. 2층 이상의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1석씩이나, 1층과 2층 탑신만은 4매 판석으로 결구하였다. 그런데 이 칠층석탑 역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과 같이 2층에서 7층 탑신 사면에 교차문을 새겼다. 쌍교차문 칠층석탑에서는 전후면에 쌍교차문(쌍 X자문)이고, 좌우면에는 마름모꼴(◇)을 새긴 것에 반해, 이 교차문 칠층석탑에서는 탑신 4면에 단일 교차문을 장식하였다. 초층 옥개석은 하면의 층급받침이 6단인데, 특이한 것은 옥개석 하면 모서리에 추녀목과 같은 두툼한 폭 9㎝의 돌출부가 각출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옥개석 상면의 우동마루도 두툼하게 튀어나오게 하여 백제계 석탑의 기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예는 한국석탑에서는 매우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하겠다. 옥개석은 각 층이 모두 평박한 편이며, 낙수면도 급경사가 아닌 매우 부드러운 곡선을 유지하고 있다. 2층과 3층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5단이며, 4층 ·5층 ·6층 ·7층의 층급받침은 4단이다. 이 석탑에서 주목되는 것은 단일 교차문의 장식과 옥개석 하면의 네 귀퉁이에 추녀 모양의 돌기 부분과 옥개석 상면의 우동마루(내림마루)가 두툼하게 돌기하고 있는 양식이다.
운주사 대웅전에서 서쪽 산등성이에 있는 와형 석불 쪽으로 오르는 중간지점의 평평한 큰 암반 위에 서 있으며, 운주사 내 다른 국가유산과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이 칠층석탑의 옥개석 하면 모서리에 돌출부가 각출되었고, 옥개석 상면의 우동마루도 두툼하게 튀어나오게 하여 백제계 석탑의 기법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예는 한국석탑에서는 매우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또한, 1층 탑신 각 면의 양쪽 귀퉁이에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부분 중앙으로 보조 우주가 하나씩 얕게 표출되었는데, 이 같은 예는 고려시대의 석탑에서 가끔 볼 수 있는 것으로, 고려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