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주사 석조불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의 총높이는 7.5m이며, 지대석 자체가 지하에 매몰된 상태여서 불분명하지만, 커다란 네모의 지대석 상면에 높이 5㎝ 정도의 1단괴임을 마련하여 그 위로 탑신을 얹었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는데, 각 면의 양쪽에는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안쪽으로는 보조우주가 얕게 각출되었다. 그 판석 사이에는 면석만을 끼워 넣어 H자형을 취하였다. 2층 탑신도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는데, 초층과 같이 양 모퉁이에 우주와 보조우주가 모각되었다. 역시 4매 판석으로 결구된 3층 탑신도 양 귀퉁이에 우주와 보조우주가 표출되었다. 4층 이상의 탑신은 1석씩이며 각 4면에는 양 귀퉁이에 우주가 모각되었으나 이 우주가 폭이 넓어 다소 투박스러우며, 1층 ·2층 ·3층과는 달리 보조우주가 없다. 옥개석은 각층 하면에 옥개받침이 각출되었는데, 초층과 2층은 6단씩이고, 3층은 5단이며, 4층 ·5층 ·6층은 4단, 7층은 3단으로 줄어들어 시대적으로 뒤진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7층 옥개석 정상에는 방형의 석재가 올려 져 있는데, 이것은 상륜부의 노반이거나 아니면 괴임석으로 생각되나 그 폭이 아래층(7층) 탑신의 폭보다 훨씬 넓어서 상륜부에 속한 부재인지 의심스럽다. 옥개석 낙수면은 급경사가 아니고 모두가 평평하며 처마의 단면이 수직선이고 추녀 네 귀퉁이 전각의 반전도 부드러운 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칠층석탑은 다른 석탑이 석괴형의 큰 방형의 지대석을 설치한 것과는 달리 아주 낮은 지대석 위에 그대로 7층의 탑신부를 구성하여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운주사 내 다른 국가유산과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이 석탑의 옥개석 상면 네 귀퉁이를 이루고 있는 우동마루(내림마루)가 예리한 각을 이루지 않고 퉁퉁하게 묘사된 것은 백제계 석탑에서 나타나는 기법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또한 옥개석의 폭과 탑신 높이의 체감이 균제된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감을 주는 탑으로, 고려시대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