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 앞 칠층석탑 (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和順 雲住寺石造佛龕앞七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07월 13일 지정)
소재지
도암면 용강리 94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운주사에 있는 고려시대 7층 석조 불탑.
개설

운주사 석조불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탑의 총높이는 7.5m이며, 지대석 자체가 지하에 매몰된 상태여서 불분명하지만, 커다란 네모의 지대석 상면에 높이 5㎝ 정도의 1단괴임을 마련하여 그 위로 탑신을 얹었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는데, 각 면의 양쪽에는 우주가 모각되고, 면석 안쪽으로는 보조우주가 얕게 각출되었다. 그 판석 사이에는 면석만을 끼워 넣어 H자형을 취하였다. 2층 탑신도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는데, 초층과 같이 양 모퉁이에 우주와 보조우주가 모각되었다. 역시 4매 판석으로 결구된 3층 탑신도 양 귀퉁이에 우주와 보조우주가 표출되었다. 4층 이상의 탑신은 1석씩이며 각 4면에는 양 귀퉁이에 우주가 모각되었으나 이 우주가 폭이 넓어 다소 투박스러우며, 1층 ·2층 ·3층과는 달리 보조우주가 없다. 옥개석은 각층 하면에 옥개받침이 각출되었는데, 초층과 2층은 6단씩이고, 3층은 5단이며, 4층 ·5층 ·6층은 4단, 7층은 3단으로 줄어들어 시대적으로 뒤진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7층 옥개석 정상에는 방형의 석재가 올려 져 있는데, 이것은 상륜부의 노반이거나 아니면 괴임석으로 생각되나 그 폭이 아래층(7층) 탑신의 폭보다 훨씬 넓어서 상륜부에 속한 부재인지 의심스럽다. 옥개석 낙수면은 급경사가 아니고 모두가 평평하며 처마의 단면이 수직선이고 추녀 네 귀퉁이 전각의 반전도 부드러운 면을 나타내고 있다.

현황

이 칠층석탑은 다른 석탑이 석괴형의 큰 방형의 지대석을 설치한 것과는 달리 아주 낮은 지대석 위에 그대로 7층의 탑신부를 구성하여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운주사 내 다른 국가유산과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의 옥개석 상면 네 귀퉁이를 이루고 있는 우동마루(내림마루)가 예리한 각을 이루지 않고 퉁퉁하게 묘사된 것은 백제계 석탑에서 나타나는 기법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또한 옥개석의 폭과 탑신 높이의 체감이 균제된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감을 주는 탑으로, 고려시대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운주사』(전남대학교박물관, 1984)
「운주사종합학술조사」(전남대학교박물관·화순군, 1991)
「화순 운주사지 석탑 및 불상 조사보고」(성춘경·천득염·이영숙·최인선, 『지방문화재조사보고서: 문화재위원회 심의자료』, 전라남도, 2005.4.14)
집필자
김희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