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의 총높이는 7.75m이며, 높고 큼직한 1석의 방형 기단석 위에 1단의 방형 괴임대를 조출하고 그 위에 탑신부를 받고 있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짜여져 있는데, 전후 2면에는 쌍교차문을 두껍게 양각하고 좌우 양면에는 양 귀퉁이에 우주를 모각하였으며, 중간에 탱주 1주를 마련하였다. 2층 탑신도 4매의 판석으로 결구하고 전후면에는 쌍교차문을 가늘게 음각하고, 탑신 좌우로는 마름모꼴을 하나씩 음각으로 장식하였다. 3층 탑신은 1석씩이며, 각 면에는 2층 탑신의 전후면과 같이 쌍교차문이 교차되었다. 4층 탑신은 특이하게도 판석으로 짜 맞추었으며, 역시 전후면에 쌍교차문이 음각되고 좌우로는 마름모꼴을 장식하였다. 5층 이상의 탑신은 각 1석씩으로 조성하고 각 면에는 쌍교차문을 표출하였다. 옥개석은 각 층 1석씩이며 하면에는 옥개받침을 각출하였는데, 1층 ·2층 ·3층은 5단이고, 4층은 4단, 5층 ·6층 ·7층은 3단씩으로 줄었다. 상륜부는 1단의 높은 괴임대 위에 조그마한 네모꼴의 석재가 올려져 있다. 각 층의 옥개석 처마의 단면이 사선으로 처리되었으며 전각의 반전 또한 경쾌하다.
운주사 광배석불좌상 바로 앞에 위치하며, 운주사 내 다른 국가유산과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이 석탑의 외형을 보면 신라 전형양식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각 층 탑신석에 특이한 교차문(쌍 X자문)과 측면의 마름모꼴(◇)의 형태를 장식하는 등 국내 석탑에서는 그 유례가 없는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칠층석탑이면서도 퍽 안정감을 주는 모습으로, 운주사의 석탑 중에서는 조형미를 갖추고 있는 수준급 작품으로, 고려시대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