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칠층석탑 1기로, 2005년 7월 13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의 총높이는 7m이며, 지대석이나 기단부 등의 별다른 시설 없이 탑신부만을 건립하였다. 상 · 하의 탑신석 양식이 같으므로 하단부터 1층으로 삼았는데, 1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H자 조립을 하였으며 각 면에는 양쪽 귀퉁이에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된 판석을 세우고 그 사이에 면석만으로 된 판석을 끼워 넣었다. 2층과 3층의 탑신도 각기 4매의 판석으로 짜여졌으며, 각 면의 양쪽 귀퉁이에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어 있어 1층과 같은 방법을 취했다. 4층 탑신석은 상 · 하 2석으로 조성되었으며, 5층 이상의 탑신석은 1석씩으로 조성하였다. 각 층과 각 면에는 양쪽 귀퉁이에서 널찍한 우주가 두드러지게 모각되어 약간은 둔중한 느낌이 든다. 옥개석은 각 층 1석씩으로 조성하고, 하면에는 옥개받침을 각출하였는데, 모두 3단씩이나 7층만은 2단으로 조성하였다. 대체적으로 각층 옥개석은 추녀와 처마가 직선이고 네 귀퉁이의 전각에 반전이 표시되었으며 낙수면도 평박한 편이다. 7층 옥개석 정상에는 1석으로 조성된 상륜부가 얹혀 있다.
운주사의 계곡 서측 산록의 칠성바위가 있는 큰 암반 위에 있으며, 운주사 내 다른 국가유산과 함께 잘 보존되고 있다.
이 칠층석탑은 상 · 하의 탑신석 양식이 같아 하단부터 1층으로 삼은 특이한 구조이며, 고려 석탑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