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지방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하늘과 땅의 형상에 대한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기본 세계관. 우주론.
정의
하늘과 땅의 형상에 대한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기본 세계관. 우주론.
개설

천원지방(天圓地方)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뜻이다. 고대 중국의 수학 및 천문학 문헌인 『주비산경(周髀算經)』에서, “모난 것은 땅에 속하며, 둥근 것은 하늘에 속하니,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라고 선언되어 있다. 고대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비슷한 표현을 찾아 볼 수 있다. 이 명제는 전근대 시기 말까지 동아시아 사회에서 하늘과 땅의 모양에 관한 권위있는 학설로 받아들여졌다.

내용

고대로부터 천원지방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뜻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천원지방을 말 그대로 하늘과 땅의 실제 모양으로 보는 입장이다. 이는 고대 중국인의 소박한 우주관을 반영한 것이지만, 한(漢)나라 시기에 주비가(周髀家)라고 불리던 우주론 학파는 여전히 “하늘은 수레 덮개를 펼친 것과 같은 원형이고, 땅은 바둑판과 같은 방형이다”라고 진지하게 믿었다.

하지만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부터는 천원지방을 하늘과 땅의 실제 모양으로 보는 데 반대하는 입장이 더 널리 퍼졌다. 예를 들어 『대대례기(大戴禮記)』에는 “만약 정말로 하늘이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면, 하늘이 땅의 네 모서리를 가리지 못하는” 불합리한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증자(曾子)의 언급이 실려 있다. 그는 ‘천원지방’을 그 대신 하늘과 땅이 지닌 양과 음의 도(道)를 표현하는 말로 해석하자고 제안했다. 이와 유사한 해석이 앞서 언급한 『주비산경』의 ‘천원지방’ 구절에서 주석을 단 조군경(趙君卿) 등 여러 논자에 의해 제기되었다.

연원 및 변천

17세기 서양 예수회 선교사에 의해 땅이 둥근 공 모양이라는 지구설이 중국에 알려지자, 천원지방을 모양이 아니라, 하늘과 땅의 도(道) 또는 덕(德)으로 해석하는 입장이 다시금 강조되었다. 지구설을 처음으로 전한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는 천원지방에 대해 굳건히 회전하는 하늘의 덕, 가운데에 고요히 정지한 땅의 덕을 표현하는 말이라고 해석했다. 이후 지구설을 받아들인 중국과 조선의 여러 학자들이 마테오 리치의 해석에 동의했다. 이러한 해석 때문에 서로 모순되는 듯이 보이는 천원지방의 명제와 서양의 지구설이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이문규, 문학과 지성, 200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