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수 ()

회화
개념
불교 사찰에서 건축 · 단청 · 목장 등의 일에 종사하는 기술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불교 사찰에서 건축 · 단청 · 목장 등의 일에 종사하는 기술자.
개설

조선시대 불교 사찰에서 건축이나 목수(木手)일을 하는 사람, 혹은 단청이나 불화를 그리는 사람을 편수라고 불렀다. 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일상에서 필요한 모든 것들을 사찰 안에서 해결하였기 때문에 의·식·주 등 기초생활에 필요한 물품은 물론, 건물을 짓거나, 단청이나 불상을 만들고, 불화를 그리는 등 사찰을 장엄하는 일도 모두 자체 인력으로 해결하였다. 따라서 승려나 일반인 가운데 기술이 있는 자들이 절을 짓고 경전을 쓰고 불상을 조성하며 불화를 그리는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연원 및 변천

편수의 역할은 불상의 복장(腹藏)이나 불화의 화기(畵記), 또는 사찰 기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불사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 적힌 명단을 증명질(證明秩) 혹은 화원질(畵員秩)·비수질(毘首秩)이라 하는데, 이 명단 가운데 편수가 포함되어 있다. 이 편수라는 호칭은 조선 후기에 주로 사용되었는데, 18세기에는 간혹 쓰이다 19세기에 와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편수는 세부적으로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던 듯한데, 운흥사(雲興寺) 괘불(1730년)의 화기를 보면 출초편수(出草片手)·금어편수(金魚片手)·야장편수(冶匠片手)·연장편수(鍊匠片手)·소목편수(銷木片手)와 같이 구분해 불화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을 기재하였다. 이 업무를 총괄하는 편수를 도편수(都片手)라 했다. 다만 구체적으로 역할 분담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불화가 선으로 그리고 채색하는 것 외에 배접, 아교포수(阿膠泡水), 표장(表裝) 등 완성하기까지 여러 가지 절차와 공정이 있는 만큼 이에 따른 분업이나 전문성이 구분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내용 및 현황

특히 불화에서 편수는 금어(金魚)와 함께 기재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화기의 경우에 따라서 금어와 편수로 구분해 불화제작에 참여한 사람을 적은 경우가 있으며, 또 금어(金魚)·편수(片手)·편장(片章)으로 구분되는 경우도 있어 금어와 편수간의 역할이 분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흥사 석가모니불도(1749년)는 금어편수와 개금(改金)편수로, 화계사(華溪寺) 괘불(1886년)에서는 금어·출초(出草)·편수로 역할을 구분하였다. 이때는 대개 금어가 선행하고 편수가 후행하여 이 두 명칭에 해당하는 화승 사이에 상하 위계가 존재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20세기 이후에는 오히려 역전되어 편수가 선행하고 금어가 후행하는 사례가 눈에 띄어 이 두 호칭에 해당하는 화승 사이에 어떤 관계 변화가 있었거나 위계가 와해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화기집』(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한국불화화기집』(홍윤식 편, 가람연구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