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 ( )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전기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초조본 · 권자본.
이칭
이칭
대반야경, 반야경, 반야심경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249(初雕本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二百四十九)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대장도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8년 06월 1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대반야바라밀다경』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초조본 · 권자본.
개설

198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하여 조조(雕造)한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중에서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의 잔권(殘卷)인 ‘권제249’를 인출(印出)하여 ‘1권(卷) 1축(軸)’의 권자본(卷子本)으로 간행한 불경이다.

서지적 사항

1권(卷) 1축(軸). 목판본. 권자본(卷子本). 대장도감(大藏都監)본. 책 크기는 29.1㎝×2524.5㎝로 상하단변(上下單邊)이다. 광고(匡高)는 22.6㎝로 1장(張)이며, 29.1㎝×49.551㎝이다. 행자 수는 2425행(行) 14자(字)이다.

고려 초조대장경의 「대반야경 600권」 중에서 그 잔권(殘卷)인 ‘권제249’는 목판본에 찍은 한지(韓紙: 楮紙) 여러 장(張)을 연결하여 붙여서,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보존할 수 있도록 장책(裝冊)한 권자본(卷子本)으로 만들어져 있다. 초조대장경은 재조대장경(해인사대장경)과 비교해볼 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우선 목판의 새김이 매우 정교(精巧)하고, 각 판의 권말(卷末)에 판각(板刻)한 연도(年度)를 적은 기록이 없다는 점이다. 또한 초조대장경의 각 경판에는 군데군데 피휘자(避諱字: 문장에서 선왕(先王)의 이름자가 나타나는 경우 공경과 삼가의 뜻으로 글자의 한 획을 생략하거나 뜻이 통하는 다른 글자로 대치하는 것이다. 이 권자본에서는 ‘竟(경)’자의 마지막 획이 결획(缺劃)되어 있다.)와 약자(略字)가 나타난다. 그리고 경판(經板)의 장수(張數)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초조대장경은 대체로 ‘장(丈)’자나 ‘폭(幅)’자를 쓰는 데 반하여, 재조대장경은 ‘장(張)’자로 통일되어 있다.

권자본에 인쇄된 상태로 보아 그 각자(刻字)의 상태가 예리하게 나타나고, 표지에 제첨(題簽)이 없는 상태에서 그 제목이 묵서(墨書)로 서사(書寫)되고 있으며, 권서(卷緖) 등의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인출(印出) 당시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내용

「대반야바라밀다경」은 「대반야경(大般若經)」으로 약칭하여 불린다. 당(唐)나라 현장(玄奘)법사가 한역(漢譯)한 「대반야경(大般若經) 600권」은 대장경(大藏經) 가운데 가장 방대한 경전(經典)으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핵심인 공사상(空思想)을 설파(說破)하고 있으며, 한역(漢譯)대장경의 시발(始發)인 북송 개보칙판대장경(北宋開寶勅板大藏經) 조조(雕造)의 기저(基底)가 된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의 목록에서도 그 첫머리에 수록되어 있다.

「대반야경」은 대승불교에서, ‘일체의 모든 존재물(存在物)은 인연(因緣)을 따라 생겨났다가 이내 덧없이 없어지는 것이므로, 그 자체에는 실체(實體)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집착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는 이른바 공(空)사상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대반야바라밀다경」‘권249’에는 ‘초분난신해품(初分難信解品) 제삼십사지육십팔(第三十四之六十八)’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지질(紙質)·자묵(字墨)·제첨(題簽)·권서(卷緖) 등의 보존 상태로 보아 「대반야경」 초조본(初雕本) 가운데서도 가장 초기(初期)에 인출(印出)된 권자본(卷子本)으로 추정되며, 현종 연간(1011~1031)에 인출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문화재청(http://www.cha.go.kr)
국가기록유산(http://www.memory.go.kr)
집필자
김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