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 ( )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
불교
문헌
문화재
14세기 경 송판본을 번각하여 간행한 『원각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이칭
이칭
원각경약소, 원각경소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91년 07월 12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정의
14세기 경 송판본을 번각하여 간행한 『원각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원각경』은 당(唐)시대인 693년에 북인도 출신의 역경승(譯經僧)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한 불경으로, 관심(觀心) 수행을 위주로 하여 원만한 깨달음(覺)에 이르는 요법(要法)을 설한 것이다. 이 경은 산스크리트어 원본(原本)이 없어서 중국의 위경(僞經)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1: 중국 화엄종의 제5조(祖))은 『원각경』에서 인간 본원(本源) 대한 깨달음을 얻은 인물로, 선(禪)을 바탕으로 회통하는 사상적 논증을 펼치며 여러 사상들간의 미세한 차이를 정확히 짚어내는 적절한 비유로 회통사상을 펼쳤다. 종밀의 가르침은, ‘생명체라면 누구에게나 청정하고 무한한 능력이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이와 같은 관점(觀點)에서 종밀은 『원각경약소(略疏)』를 저술하였다고 볼 수 있다.

종밀이 저술한 『원각경약소』는 중국에서 『원각경』의 이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교과서]로 널리 인정받았기 때문에 송(宋) 시대에도 목판으로 간행되었으며, 이 판본이 고려로 전래되어 고려에서 재차 복각(復刻)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이 책의 글씨체(書體)와 판심 및 판각기법으로 보아, 14세기 경 고려시대에 송판본(宋板本) 계열을 번각(飜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문의 이미지로 보아, 인쇄된 후 오랫동안 수택본(手澤本: 곁에 두고 독서하여 손때가 묻은 책)으로 전래되어, 책지(冊紙)에 파손이 생겨 배접하기는 하였지만, 인쇄상태는 선명하고 깨끗하기 때문이다.

편찬/발간 경위

의천(義天)의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 ‘약소(略疏) 4권(혹 2권)’이라 하였는데, 이 판본은 상 · 하의 2권에 각각 1 · 2로 분할된 2권 4책 중에서 ‘권상(卷上)’임을 알 수 있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목판본. 선장(線裝)본. 1986년 보물로 지정된 본(아단문고 소장본)과 같은 복본(複本)이다. 본문은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되어 있고 전곽(全郭)의 크기는 22.6㎝✕52.8㎝이며, 유계(有界)이다. 판심은 전엽(全葉)으로 10행 12자로 되어 있고, 주는 소자쌍행(註小字雙行)이다.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인쇄본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의천(義天)은 제종교장(諸宗敎藏)의 목록인 『신편제종교장총록』에서 종밀의 『원각경약소(圓覺經略疏)』4권 및 『원각경약소과(圓覺經略疏科)』2권을 비롯한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6권, 『원각경대초(圓覺經大鈔)』26권, 『원각경도량수증의(圓覺經道場修證儀)』 18권 등 종밀의 모든 연구 소초(疏鈔)를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종밀의 저술 모두를 매우 중시(重視)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원각경』은 고려의 보조국사 지눌(知訥)이 깊이 신봉하여 “요의경(了義經)”이라 한 뒤 한국불교에서 크게 유통되면서 한국불교 조계종(曹溪宗)의 소의경전(所衣經典)으로 채택되어, 한국불교 전문강원(專門講院)의 사교과(四敎科) 과정의 필수과목으로 학습되었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korea/heritage)
국가기록유산(www.memorykorea.go.kr)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성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