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장요집경 권1~2 ( )

불교
문헌
중국 북제(北齊)의 도기(道紀)가 대중 교화를 목적으로 인과응보와 관련된 설화 내용을 가려 뽑은 불교설화집을 13세기 중엽 대장도감 또는 분사대장도감에서 간행한 책.
이칭
이칭
금장집(金藏集), 금장요집경 권1~2(국가문화유산-보물)
문헌/고서
편찬 시기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
간행 시기
13세기 중엽
저자
도기(道紀)
편자
도기(道紀)
편저자
없음
권책수
7권
권수제
金藏要集經 卷一 등
판본
목판본
표제
金藏要集經
소장처
권1~2 범어사 소장, 권3~4 개인 소장
내용 요약

『금장요집경』 권 1~2는 13세기 중엽 고려의 대장도감 또는 분사대장도감에서 간행한 책으로 원래는 중국 남북조시대의 북제(北齊)의 승려 도기(道紀)가 대중 교화를 목적으로 인과응보와 관련된 설화 내용을 가려 뽑은 불교설화집이다. 현재 권1~4가 남아 있다.

정의
중국 북제(北齊)의 도기(道紀)가 대중 교화를 목적으로 인과응보와 관련된 설화 내용을 가려 뽑은 불교설화집을 13세기 중엽 대장도감 또는 분사대장도감에서 간행한 책.
개설

보물 제1525호. 『금장요집경』은 본래 북제(北齊)의 승려 도기(道紀)가 인과응보에 관한 설화를 중심으로 편찬한 책으로 총 7권이 있었으나 현재 ‘제1~4권’만이 잔권(殘卷)으로 남아 있다. 권1~2는 부산 범어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권2의 영본과 권3~4는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서지적 사항

범어사 소장의 권1~2의 경우 2권 1책으로, 주1이다. 책 크기는 세로 25.8㎝에 가로 16.6㎝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표지는 조선시대에 주10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판식(板式)은 고려 13-14세기 주4의 형식적 특징이 보이며, 주5의 하단에 ‘문향(文鄕)’, ‘백기(白基)’ 등의 각수명(刻手名)이 보인다. 이들은 고려 재조대장경판(再雕大藏經板)을 판각했던 각수(刻手)들로서 13세기 중엽에 주6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개인 소장의 권3~4의 경우 권수제와 권미제는 각각 '금장요집경권제삼'과 '금장요집경권제사'이며 판심제는 '금장삼, 금장사'이다. 상하 단변, 좌우 쌍변이고 대체로 무계이며, 반곽은 11행 20자에 협주는 소자 쌍행이다. 상하하향흑어미, 상하향흑어미, 상하하향백어미가 혼재되어 있고, 백구(百口)이다.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는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권1·2(보물 제1525호), 개인 소장으로 권2 영본(제1~20장)과 권3·4가 있다.

내용

‘『금장요집경(金藏要集經)』 권제1’의 주7 다음 행(行)에는 이 책 7권 전체의 간략한 목차가 수록되어 있다. 그 구성은 22연(緣), 즉 지금의 22편(篇)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목차에 이어 제1엽(葉: 쪽)의 마지막 행(行)부터 「사견연 제1(邪見緣 第一)」부터 「잡연 제이십이(雜緣 第卄二)」까지 편제(扁題)가 있다. 편제 다음에는 각 편의 세부 목차가 기록되고 있다. 이어서 각 내용이 시작되는 제목의 아래에는 주11여 온 내용의 출처(出處)를 소자 쌍행(小字雙行)의 형식으로 밝히고 있다.

각 권에 실려 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권1에 사견연 제일(邪見緣第一), 권2에 살해연 제이(殺害緣第二), 매매연 제삼(罵詈緣第三), 참회연 제사(懺悔緣第四), 칭불연 제오(稱佛緣第五), 관상연 제육(觀像緣第六), 청법연 제칠(聽法緣第七), 구법연 제팔(求法緣第八), 권3에 계연 제구(戒緣第九), 식연 제십(食緣第十), 업연 제십일(業緣第十一), 권4에 포시연 제십이(布施緣第十二), 간연 제십삼(慳緣第十三)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의 대장도감이나 분사도감에서 조성되었지만 해인사에 보존 사실이 확인되지 않고 인출본만 확인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다.

참고문헌

논문

김영선, 「『금장요집경』(3-4권)의 내용 연구」(『우리말연구』 48, 우리말학회, 2017)
최연식, 「조선후기 佛敎小話集의 수용과 유통」(『불교학보』 80,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최영호, 「13세기 중엽에 조성된 금장요집경의 역사·문화적 성격」(『한국중세사연구』 61, 한국중세사학회, 2020)

인터넷 자료

주석
주1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 우리말샘

주4

불교에 관한 서적. 우리말샘

주5

옛 책에서, 책장의 가운데를 접어서 양면으로 나눌 때에 그 접힌 가운데 부분. 우리말샘

주6

나뭇조각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김. 우리말샘

주7

책 본문 첫머리에 쓴 책의 제목. 우리말샘

주10

포장, 장식 따위가 다시 꾸며지다. 우리말샘

주11

어떤 곳에 이미 발표되었던 글을 다른 곳에 그대로 옮겨 싣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