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화학공업대학 ()

정치·법제
단체
화학공업 부문의 기술자, 전문가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화학공업 부문의 기술자, 전문가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
개설

함흥화학공업대학은 화학공학 분야의 최고 전문가, 기술자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함경남도 함흥시 세거리동에 위치해있다.

설립목적

함흥화학공업대학은 화학공업 부문의 유능한 기술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함흥화학공업대학의 모체인 흥남공업대학은 1947년 9월 15일에 북한 최초의 공업대학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 4년제 교육과정으로, 화학공학, 전기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등 7개 학과가 설치되었고, 12개 학급에 430여 명의 학생이 재학했다. 함흥화학공업대학이 함흥에 설립된 것은 해방 후 일제 시기에 구축된 함흥지역의 대규모 화학공장들을 복구하면서 북한 최고수준의 화학자, 기술자들을 이곳에 집중시켰고, 학문 후세대를 양성하는 사업을 병행할 필요를 절감했기 때문이다.

함흥화학공업대학은 이후 김책공업종합대학,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함흥약학대학이 설립됨에 따라 화학공업 부문의 기술공학학과만을 가진 화학공업대학으로 개편되었다.

현황

함흥화학공업대학은 전형적인 현장지향형의 종합성 단과대학이다. 학과 구조에서도 화학분야만큼은 여타 학과 졸업생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함흥화학공업대학은 화학공정공학부(화학공학과), 화학재료공학부(화학재료공학과), 응용화학공학부(고분자응용공학과, 정밀유기화학공학과, 생물화학공학과), 무기염공학부(무기염공학과, 전기화학공학과, 분석화학과, 환경공학과), 규산염화학공학부(규산염화학공학과, 공업경영학과), 화학공정콤퓨터조종학부(공정콤퓨터조종(화학)학과, 정보공학(화학)학과, 응용수학학과), 기계공학부(화학기계장치학과, 기계생산공학과) 등의 학부 및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우수한 학생들로 구성된 수재반으로 화학공학과, 과학기계장치학과도 운영되고 있다. 일하면서 공부하는 교육체계인 통신, 야간학부와 박사원과 과학연구소들이 부설되어 있으며, 각종 실험실과 출판사, 도서관, 실습공장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원세멘트연합기업소를 비롯한 주요 공장들에 대학분교가 설치되어 있다.

수업 연한은 일반학과와 수재반 모두 4.5년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졸업생들에게는 전공 분야별로 기사 자격이 주어진다. 교육과정의 목표는 “주체의 혁명적 세계관”과 화학공학 분야의 폭넓은 전공지식을 갖추고 화학공업생산공정을 능숙하게 관리 운영하는 능력을 가진 화학공학기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영역별 수업시간수 비중은 정치사상 교과가 전체 수업 시간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외국어, 체육 등 일반교양이 10%, 전공기초와 전공교과가 60∼65% 정도를 차지한다. 특히 전공기초의 비중이 큰데, 이는 제품생산 종류와 지역이 넓은 기간산업 관련 학과의 경우 생산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공학기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폭 넓은 기초과목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생산실습은 거의 전 학년에 걸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진행된다.

의의와 평가

함흥화학공업대학은 설립 이래로 화학공학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함흥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관련 생산현장에 배치함으로써 비닐론공업의 창설, 비료공장설비의 대형화, 현대화 등 북한의 화학공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12(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조선대백과사전』24(백과사전출판사, 2001)
『조선교육사』4(강근조, 사회과학출판사, 1991)
『조선교육사』3(김창호, 사회과학출판사,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