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금성대군 신단 ( )

영주 금성대군 신단 전경
영주 금성대군 신단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조선후기 단종복위운동 관련 신단.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주 금성대군 신단(榮州 錦城大君 神壇)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07년 12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 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 있는 조선후기 단종복위운동 관련 신단.
개설

200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유적지에는 금성대군의 신단과 순의비(殉義碑)가 있으며 금성대군과 함께 처형당한 이보흠과 지역 선비들을 추모하기 위한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매년 봄과 가을에 지방 유림들이 제사를 지낸다.

역사적 변천

『순흥읍지』에 따르면 금성대군신단을 처음 조성한 사람은 홍천군현감 이대근으로 비밀리에 단을 설치하였다고 한다. 1691년(숙종 17)에 사육신이 복직되자 1693년(숙종 19) 부사 정중창이 금성대군이 유배되었던 자리에 처음으로 단(壇)을 쌓았다고 한다. 이후 1719년(숙종 45)에 부사 이명희(李命熙)가 상소하여 3개의 단으로 고쳤고, 1742년(영조 18)에는 경상감사 심성희(沈聖希)가 단소(壇所)를 정비하였다. 1980년에는 신단 앞에 제청(祭廳)과 주사(廚舍)를 건립하였다.

내용

금성대군(1426-1457)은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단종의 숙부이다. 1456년(세조 2)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단종복위운동을 추진하다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금성대군은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 및 지역 사족(士族)들과 더불어 단종 복위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사전 밀고로 발각되어 거사를 도모했던 사람들과 함께 참형을 당하고 말았다. 숙종연간에 금성대군과 함께 순절한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단(壇)을 설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징

금성대군신단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사주문을 들어서면 제청과 주사가 마주하고 있고 일각문으로 들어가면 토석담장 안에 신단이 조성되어 있다. 기단은 장대석으로 조성하였으며 기단 앞 3곳에 계단을 설치했다. 기단 위에는 품(品)자 형으로 돌로 만든 3개의 단이 조성되어 있다. 금성대군의 신단은 중앙 뒤쪽에 있는 단으로 서쪽에는 금성대군성인신단지비(錦城大君成仁神壇之碑, 높이 140㎝, 폭 55㎝, 두께 24㎝)가 있다. 금성대군 신단 앞에 있는 동쪽 단은 이보흠을 모신 단이며, 서쪽 단은 함께 순절한 선비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단이다.

의의와 평가

금성대군신단은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 국왕에 대한 의리가 강조되고, 탕평정치가 활성화되는 역사적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당시 인신(人神)을 위해 설치한 제단의 사례는 극히 드물고 제단도 잘 보존되어 있는 등 조선 후기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영주시청(tour.yeongju.go.kr)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홍승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