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 신흥사 명부전 ( )

속초 신흥사 명부전
속초 신흥사 명부전
건축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신흥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이칭
이칭
지장전(地藏殿)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속초 신흥사 명부전(束草 新興寺 冥府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1년 12월 16일 지정)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 (설악동, 신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신흥사에 있는 조선후기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개설

신흥사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기 위한 불전으로 1737년(영조 13)에 창건되었으며 1797년(정조 21)과 1975년에 중수되었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5량가 구조로 출목 2익공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지붕은 겹처마에 맞배 기와지붕이다. 2011년 12월에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신흥사 명부전은 주불전인 극락보전(極樂寶殿)의 동쪽에 남향으로 나란히 앉아 있다. 명부전은 1737년(영조 13)에 창건되었으며 1797년(정조 21)과 1975년 두 차례에 중수된 기록이 있다. 명부전 내부 중앙에는 닫집을 갖추고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좌우 목조도명존자입상과 목조무독귀왕입상을 봉안했으며, 지장보살 후면에는 지장탱화를 걸었다.

명부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5량가 건물로, 지붕은 겹처마를 갖춘 맞배 기와지붕이다. 좌우 측면에 풍판을 달아 비바람을 막도록 했다. 포작은 출목 2익공 형태로 구성하였다.

건물 내부 천정은 중도리 상부에서 우물천장을 구성하고, 중도리와 주심도리 사이에 빗천장을 대었다. 이는 대들보를 드러내고 건물의 높이를 확보하려는 의도였으나, 다양한 천정 마감으로 장식적인 효과도 만들어냈다. 정면 어칸과 협칸에는 꽃살 창호를 설치하여 장식하였으며, 좌우 협칸의 창호는 폭과 높이를 줄여 어칸과 차별성을 두었다.

특징

신흥사 명부전은 전체적으로 18세기 사찰 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나, 그중에서 공포 형태와 창호 구성이 독특하다. 기둥머리에 구성되는 공포는 출목 2익공이다. 외부로 뻗어나간 초익공과 이익공은 쇠서형으로 조각하였으며, 내부로 뻗어나간 초익공은 연꽃 봉우리를 조각하였고, 이익공은 보아지로 대들보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익공 형태는 18세기에 유행하였던 것으로 시대성을 반영한다.

명부전의 창호는 정면에만 구성되었다. 후면과 측면에 창호가 없으므로 주로 정면의 협칸 창호를 통해 출입하게 된다. 그러나 협칸 창호는 성인 키보다 작게 만들어 고개를 숙이고 명부전에 출입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보이는 형태다.

의의와 평가

전면 창호의 구성이 독특하며, 출목 익공 구조는 주심포로 구분해야 한다는 견해도 다분한 만큼, 명부전의 공포는 주심포와 익공 양식이 절충되어 동시대의 건축 양식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건봉사급건봉사말사사적(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한용운, 1928, 독립기념관 소장)
「문화재지정보고서: 속초 신흥사 명부전」(강원도청, 2011)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