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언해두창집요
언어·문자
문헌
국가유산
조선시대 의학자 허준이 두역 처방에 관해 서술하여 1608년에 간행한 의서. 한의학서.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
분류
기록유산/전적류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2년 10월 12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풍산단로 78 (대소면, 대풍지방산업단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의학자 허준이 두역 처방에 관해 서술하여 1608년에 간행한 의서. 한의학서.
개설

1601년(선조 34)에 허준(許浚)이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에서 간행한 의학 서적이다. 2012년 10월 12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인 허준이 쓴 발문(跋文)에 의하면, 1590년(선조 23) 겨울, 왕자가 두창에 걸려 허준이 시약하여 치유되었고, 1601년(선조 34)에도 왕자와 왕녀가 두창에 걸려 다시 약을 사용하여 치유되었다고 한다. 이에 선조는 『태산집(胎産集)』 · 『창진집(瘡疹集)』 · 『구급방(救急方)』을 참고하여 언해를 하게 하였다. 1602년(선조 35)에 편찬을 마치고, 1608년(선조 41)에 이희헌(李希憲)과 이척각의 감독 아래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1책(권상)으로 된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단변에 반곽 세로 23.1㎝ 가로 17.2㎝이다. 계선은 유계이고, 한 면에 11항 20자, 주쌍항이며 상하내향2엽화문어미를 가지고 있다. 책의 전체 크기는 세로 30.5㎝, 가로 21.9㎝이다. 전반적으로 책의 상태가 좋지 못하고, 판각과 인쇄 상태로 보아 후대에 번각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이 책은 1601년(선조 34)에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內醫院)에서 간행한 의서이다. 1601년 두창에서 회복한 광해군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직후 창궐한 두창을 치료하기 위해 한글 언해본으로 간행하였다.

상권에는 두창의 원인과 예방법 및 그 증상, 그리고 이들의 해독법(解毒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하권에는 두창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하여 쓰고 있으며, 음식 · 금기(禁忌) · 욕법(浴法) · 양법(穰法) · 두후 잡병(痘后雜病) · 잉부 두창(孕婦痘瘡) · 반진(斑疹)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은 원래 세조 때의 내의(內醫) 임원준(任元濬)이 편찬한 『창진집(瘡疹集』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창은 당시 치료가 매우 어려워 역대 국왕이 모두 이의 퇴치에 온 힘을 기울였는데, 이 『창진집』이 의과(醫科) 초시(初試) 또는 관학(官學)에서 교본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그 가치를 알 수 있다.

현전하는 목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산기문고, 성암문고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소장본들은 후대의 번각본으로 조사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두창에 관한 의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 문화는 물론 17세기 국어사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한국목활자본』(천혜봉, 범우사, 1993)
「새로 발견된 내의원자본 언해두창집요에 관한 연구」(강순애,『서지학연구』19, 2000)
국가유산청(www.khs.go.kr)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w.nl.go.kr/korcis)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